KBS가 문창극 전 총리후보자를 ‘친일파’로 일방 매도한 보도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중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자 언론개혁시민연대, 민주언론시민연합 등 친야 성향의 단체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KBS 조대현 사장의 향후 행보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조 사장이 실제 야당 성향의 이사들의 전폭적인 지지로 KBS 사장이 된 점과 또한 전국언론노동조합 소속 KBS본부(본부장 권오훈, 이하 KBS언론노조)로부터 “징계를 막으라”는 강한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방통심의위 중징계 결정은 명백한 정치심의이자 언론의 자유와 독립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라고 규정한 KBS언론노조는 27일 성명을 통해 직접 조대현 사장 압박에 나섰다.
먼저 KBS언론노조는 “문창극 보도는 공영방송이라면 마땅히 해야 할 최고위급 공직자인 총리 후보자의 역사 인식에 대한 검증 보도였다”며 “더구나 문 전 후보자의 강연 내용이 친일사관에 입각한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사실은 보도 이후 여러 여론조사에서도 확인되듯이 학계와 언론계는 물론 일반 국민들도 인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어쩌면 박효종 씨가 방심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부터 이번 결정은 예견된 것이었을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KBS언론노조는 조대현 사장을 직접적으로 거론하면서 “방통심의위에 대한 회사의 대응 방식은 KBS 저널리즘의 독립과 자존을 지키기 위해 회사가 얼마나 노력하는지를 보여주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징계를 막기 위한 활동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한편, 조 사장은 세월호 희생자를 교통사고에 비유했다는 김시곤 전 보도국장의 발언에 대한 진실 규명을 요구한 KBS노동조합(교섭대표노조)의 요구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KBS노동조합에 따르면 김 전 보도국장 발언에 대한 감사 결과가 이미 나온 상태로 KBS 법무실에 통보됐다. 그러나 KBS는 감사 결과를 공개하라는 KBS노동조합의 요구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감사직무규정 제 21조 ‘감사결과는 공개를 원칙으로 한다’를 근거로 들어 “KBS 역사상 초유의 사장 해임이라는 사태를 몰고 온 문제적 사안에 대해 감사결과를 공개하고 어떤 조치를 취하였는지를 공방위에서 안건으로 다루고자 한 것이 그토록 무리한 요구란 말인가”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면서 “회사를 엄청난 혼란의 소용돌이에 빠뜨리고 KBS와 KBS인들의 명예를 심대하게 손상시킨 사건에 대한 감사 결과라면 마땅히 공개하여 이에 대한 명확하게 진실을 가리고 책임을 묻는 것이 원칙과 상식”이라며 “회사가 본 건을 안건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버티면서 공방위를 무산시키는 것은 대체 무슨 불순한 저의를 갖고 있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아울러 “조 사장은 사장으로서 이 사안에 대해 본인의 생각과 입장을 분명히 밝히라. 김 전 국장의 발언이 왜곡되었던지 사실이던지 간에 이 일로 길환영 사장이 해임되고 자신이 사장이 되었다고 해서 이 문제를 덮으려는 것인가. 그 덕에 어부지리로 사장이 되었다고 모른 체 하려는 것인가”라면서 “비상식을 바로 잡는 것이 KBS를 바로 세우는 시발점이 된다는 사실을 뼈 속 깊숙이 새겨야 할 것이다. 조사장은 공방위를 무력화시키고 공정방송 의지가 없다는 것을 드러낸 만큼 그 책임을 반드시 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김시곤 전 보도국장 발언 진실규명 결과 공개를 거부한 채 KBS언론노조로부터 무슨 수를 쓰더라도 방통심의위의 징계를 막으라는 요구에 직면한 조 사장이 과연 어떤 태도를 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