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이 KBS 보도로 촉발된 문창극 사태와 관련해 “경영진이 없는 공백을 틈타 정치화된 일부 기자나 노조가 정치적 의도를 갖고 해서는 안 되는 보도를 했다”고 강력 비판했다.
조 의원은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회의에서 “이번 사태의 출발이 된 KBS의 뉴스보도는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라며 “국민의 조세인 수신료와 국가 자산인 전파를 자신들의 정치적 도구로 악용해 기자로서의 본분, 언론으로서의 기본, 공영방송으로서의 원칙을 헌신짝처럼 내팽개친 이런 행동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영방송을 경영진이 견제해주지 않으면 편향된 기자와 노조가 장악해 어떤 얼굴로 나타나는지를 이번 사태가 보여줬다”고 비판해, 리더십 부재 등으로 인한 KBS의 왜곡보도 파문과 관련해 향후 강력한 개혁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 의원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KBS 보도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했다. 그는 KBS 측이 편집보도는 제한된 방송의 메커니즘상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한데 대해서는 “말이 안 되는 변명”이라며 “동영상 전체를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편집은 할 수 있다. 그러나 1분만 봐도 전체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편집해야 하는데 친일·반민족의 누명을 뒤집어쓰기 좋게, 의도를 갖고 편집했다.”고 비판했다.
KBS의 이런 보도가 나온 배경에 경영진의 공백이 있기 때문이냐는 질문엔 “KBS는 주인이 없는 회사다. 그동안 노조와 경영진이 상호 견제를 통해 공정성을 담보하는 구조였는데 경영진의 공백으로 견제장치가 무너진 것”이라며 “KBS가 이렇게 파행 보도로 치닫지 않도록 확실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영진이 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향후 미방위를 통해 KBS의 왜곡 보도 문제를 집중 추궁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 의원은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반드시 책임을 묻고, 확실한 재발 방지책을 고민해야 한다”며 “미방위에서도 심각하게 (대책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가 KBS 보도에 대해 문제를 삼는 것은 부당한 언론 개입”이라며 반발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