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정의화 의원이 11일 국회에서 동서통합과 국민대통합을 위해 섬진강 市 건설을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정 의원이 이미 지난 2005년부터 영호남화합을 위해 누구보다 앞장서 노력한 사실을 잘 알고 있는 筆者로선 정 의원의 이번 세미나 개최에 글로나마 감사를 표하고 싶다.
筆者 역시 같은 시각 전남 광양시와 하동군간 동서통합지대 핵심사업인 섬진강 동서케이블카 사업진행을 둘러싸고 서울서 내려온 전문가들과 같이 회의를 하고 있어 세미나에 참석치 못해 안타까웠다.
정 의원이 주장하다시피 영호남 접경지대에 걸쳐있는 시군들 역시 '섬진강 통합시' 건설에 대한 필요성과 당위성은 언론을 통해 나름 알고는 있다.
하지만 현실 정치여건상 섬진강 통합시 건설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은 사실상 전무했다. 구체적이고 실천적 행동지침도, 홍보도 전혀 없었다.
한마디로 뜻은 좋지만 구상수준에 머물렀을 뿐이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시장군수나 현역 국회의원 등 현실정치인으로선 당장에 아무런 정치적 실익이 없는 이 문제를 그 어느 누구도 감당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에서 섬진강市 건설을 위해 수고를 아끼지 않았던 정의화 의원에게 다시 한번 고마움을 진정으로 표시하고 싶다.
아울러 여지껏 호남땅에서 동서통합과 국민대통합 운동에 나름 매진해 왔던 筆者도 이제는 말로만 아닌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관련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섬진강 동서통합지대 사업' 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섬진강동서통합지대야 말로 섬진강市 건설을 위한 기본적 물적 토대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노무현 대통령은 2002년 대선당시 수도이전 공약을 내걸었다.
이 공약은 그뒤 헌법소원 등 수많은 논쟁과 우여곡절 끝에 현재의 행정수도 이전으로 결정됐고,그 결과 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가 탄생됐다.
참으로 기적 같은 일이지만 현실이 됐다. '수도이전' 이란 산통 끝에 태어난 세종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업적이자 치적이 됐고, 국토균형발전의 산물이 됐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지난 대선 당시 국민대통합과 국민행복을 대선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고,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국민행복’ 은 논란이 있지만 분배와 복지정책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반면 ‘국민대통합’은 여지껏 구체적이고 실천적과제물을 설정하지 못한 채 지금도 '우왕좌왕' 하고 있다.
이유는 개념자체가 애매모호하기 때문이다. 솔직히 이념갈등·세대갈등 이런 추상적인 문제를 무슨 수로 통합한다는 말인가?
무엇보다 집권세력 내부에 국민대통합에 대한 실천적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 고민이 부족했다.
진작부터 국민대통합의 실천적과제를 고민한 筆者는 국민대통합의 실천적과제는 지역갈등 해소에 있고 그래서 동서통합이 중요하고, 동서통합의 요체는 바로 영호남이 합친 ‘섬진강市’ 건설에 있다고 주장해 왔다.
또, 이를 이뤄내기 위해 호남내 반정부 여론과 통합을 저해하고 선동하는 세력 척결이 일단 우선이다고 누차 강조했다.
국민대통합을 가로막는 세력의 척결없이는 국민대통합이 없고 국민대통합 없이는 남북통일은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것이 평소 筆者의 소신이었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筆者도 이들 세력을 제압하기 위해 호남에서 활빈단 등 시민단체와 함께 국민대통합을 저해하는 세력과 맞서 싸워왔다.
이를테면 국민대통합을 이룩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던 셈이다.
아마도 올 상반기에는 적어도 국정원 댓글사건을 빙자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호남에선 사그러질 것이고, 그 시점에 정의화 의원을 비롯한 섬진강 통합세력은 본격적으로 국민대통합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
아울러 筆者는 정 의원이 주장한 광역규모의 섬진강市 건설에 앞서 일단 광양-하동이 접해있는 섬진강 양안을 韓中日이 교류하는 관광-레저-문화 중심의 인구 3~5만명 규모의 독자적 도시로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고 제안한다.
다소 규모는 작지만 영호남 통합 상징성이 있는 이곳에는 지금 섬진강 동서케이블카 사업과 섬진강 뱃길복원 사업, 문화예술회랑지대 조성사업을 비롯한 많은 사업들이 대기중이다.
문제는 말이 아니고 실천이다.
이 실천을 누가 이끌 것이고, 추진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해결되면 아마도 섬진강시는 시너지효과를 발휘해 점차 영호남 접경지대가 포함된 광역규모의 통합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선 지금 당장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섬진강 통합운동에 앞장설 사람을 꾸리는 것이 일단 중요하다. 정의화 의원이 나서야 한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