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히 근무하는 수많은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들을 한순간에 파렴치한 참나쁜 사람들로 만든 사건의 진앙지인 대연혁신도시 집단 투기의 이전공공기관의 상급부서는 해양수산부이다. 해양수산부가 전적으로 부동산투기를 한 것은 아니지만 40%에 달하는 해양수산부 산하 직원들이 혁신도시 전매에 가담하였기에 비난의 중심이 된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도덕적 해이현상과 최근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의 국정감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국토부가 부동산 투기조짐을 2012년 파악하고 주의대책을 수립하라고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해양수산부 등 산하기관이 이를 무살하였다는 것이 밝혀져 충격을 주었다. 이러한 집단적 도덕불감증에 따라 국토부에서는 부랴부랴 주택법을 개정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언론의 기능을 막아버리고자 하는 행동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어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경제전문지인 경제투데이 18일자 보도에 따르면 해양수산부 산하 수산품질관리원 이상구 지원장이 17일 수산물관련 취재기사에 불만을 품고 7차례의 전화를 걸어 항의하면서 "싸가지 초년생이...." 라는 등 공직자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폭언을 기자에게 퍼부은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빚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지방이전 공공기관의 집단적 부동산 투기 의혹과 현안사항 확인시에 국정감사에서 실책을 지적받은 윤진숙 장관에 대하여, 동문서답의 극치를 이룬다는 평가를 하고 민주당으로부터는 사퇴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일본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로 인하여 국민이 가장 불안해 하는 먹거리 문제에 대한 인식이 상황마다 바뀌어 국민들이 혼란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숙하여야 할 해양수산부가 "왜 장관을 들먹거리냐"라고 하면서 기자에게 협박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지는 수차례 해양수산부가 참여정부의 친노정권 인사들이 장관정책보좌관으로 모두 채워진 점 등 해양수산부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이러한 정체성에 대한 의문은 결국 참여정부가 국민들의 알권리를 방해하고, 국민의 입을 막아 정권창출을 기도했던 2007년 정권말기의 언론실 대못박기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친노정권은 닥치는 대로 언론사에게 국민의 세금으로 정부를 감시하던 언론사에게 무차별 소송을 벌였고 기자 개인개인에게 끊임없는 소송을 제기했던 세계사에 유래가 없었던 악질 언론대책을 사용하였다.
이런 악질 언론대책을 다시 해양수산부에서 가동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당시 친노세력들이 국민들에게 사기를 칠 수 있었던 것은 언론의 입을 틀어막고, 기자실을 폐쇄하고, 정상적인 보도에까지 기자에게 이유없는 소송으로 언론계를 황폐화 시켰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대통령이 앞장서서 댓글달기를 지시했고, 반론 신청사항을 인사고과에 반영하던 악질적인 언론대책이 친노세력들을 포용한 해양수산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주목할 일이다.
그렇지 않다면 이미 부산지역에서 대연혁신도시 부동산 집단 투기 사건에 대하여 부산시민과 언론을 향하여 도덕적 해이의 극치를 보여주었던 해양수산부 산하 공공기관장의 언론보도가 나간 지 얼마되지 않아서 기자에게 폭언을 가했다는 것은 해양수산부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항이다.
친노세력이 장악했던 참여정부와 같이 깡패처럼 무자비한 소송과 통제를 통해 언론을 길들이려했던 불편한 시절로 회귀하고 싶어하는 것은 故노무현 대통령을 배출한 해양수산부의 DNA인지는 모를 일이다. 해양수산부는 국민행복 시대의 박근혜 정부에 의해 부활 된 만큼, 친노의 추억과는 결별하여야 할 것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