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길환영 사장이 ‘대선무효 촛불집회’에 KBS 임직원들이 참가해야 한다고 KBS 내부게시판에 선동 글을 올렸다가 징계위원회에 회부됐던 직원에 대해 징계철회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공영방송 직원의 정치 중립 의무 위반 사규를 어긴 직원에 대해 책임을 묻기는커녕 ‘덮고 가자’는 지시를 내린 것은 지나친 눈치 보기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언론노조 기관지 미디어오늘에 따르면 KBS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길환영 사장이 20일 담당 부서장을 불러 ‘일을 크게 만들지 말라’는 얘기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징계위 회부도 없던 일로 처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영방송 직원이 촛불집회에 참가하거나 집회 참여를 제안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행동이지만 징계까지 내릴 사안은 아니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촛불집회’ 참여 제안 글을 올린 신 아무개 씨는 “어제(20일) 코비스에 징계위 회부 조치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올렸는데 이 글도 일방적으로 삭제됐다”면서 “이후 전국언론노조 KBS본부(본부장 김현석·KBS본부)가 삭제된 글을 다시 올리면서 성명을 발표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자 회사가 징계위에 회부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 같다”고 말했다.
KBS는 국정원 보도와 관련해 불만을 품은 야당과 좌파진영 시민단체 및 언론매체로부터 십자 포화를 맞곤 했다.
최근에는 언론노조 등이 임창건 보도본부장에 대해 집중 비판해온 가운데 KBS는 지난 20일 KBS <뉴스9>을 통해 국정원 내 심리전단 파트 보도 등 언론노조와 검찰 및 야당 측 주장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
좌파진영 미디어비평 웹진 미디어스는 “그간 국정원 보도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 KBS가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을 <뉴스9>를 통해 잇따라 보도하자, 시청자들은 ‘의아하다’면서도 환영 의사를 밝혔다”고 기사화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자유언론인협회 김승근 미디어위원장은 “KBS가 MBC만큼의 소신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 걱정된다”며 “일이 커질까 두려워 명백한 사규위반 직원을 징계도 못 하는 무기력한 공영방송을 국민이 어떻게 신뢰하겠나. 이러니 공영방송 직원들이 툭하면 정치개입이나 하고 회사를 깔보는 것 아니겠나”고 비판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