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해남 호국대선사 서산대제...29일 대흥사서

제19회 나라사랑 글쓰기·사생대회와 함께 서산대사 뜻 기려


천년고찰 대흥사에서는 오는 29일 호국대선사 휴정 서산대사(1520~1640)의 뜻을 기리는 ‘탄신 493주년 서산대제'가 전국 불자와 군민,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흥사 인원에서 봉행된다.

서산대제는 조선 선조 때 시작돼 정조때 부터 예조에서 파견한 예제관과 전남서산대사을 현감, 그리고 대흥사 스님들이 함께 봉향해왔던 서산대사 국가제향행사였으며 정조 이후에는 해남 대흥사 표충사와 묘향산 보현사 수충사에서 제향으로 매년 봄ㆍ가을 치러지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폐지됐었다.

지난해 60년만에 재현된 서산대제는 조선의 당시 기록인 ‘표충사 향례홀기(헌관과 모든 집사들은 이틀 전부터 엄숙한 마음으로 몸을 깨끗이 하고 하룻밤을 잔다ㆍㆍㆍ)'와 ‘진설도(陳設圖)'에 근거해 제향을 복원한 것으로 올해는 더 충실한 행사로 열린다.

300년을 이어왔던 서산대제의 국가제향이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지된지 60년만에 불교계의 요청이 받아드려지면서 지난해 국가제향으로 문헌고증을 통해 첫 시행됐던 서산대제는 국가 제향의 완전한 복원을 위해 올 행사는 더욱 신경을 썼다고 행사 관계자는 밝혔다.

이날 서산대제의 시작은 취타대를 앞세운 의장기수의 뒤를 이어, 봉향관, 보향제관, 군관, 전라감사, 해남현감, 등이 일주문을 출발하여 표충사까지 이어지는 예조 예제관의 추모행렬에서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일으키면서 큰 볼거리를 제공한다.

한편, 지난해 대제에는 조계종총무원장, 호남 6본사 주지, 김영록 국회의원, 문화체육부차관, 문화재청장, 사회통합위원장, 국가브랜드위원장, 전남행정부지사 등이 참석했으며 무형문화재 56호 종묘제례기능보유자 이기전 선생이 직접 서산대사 국가제향을 재현ㆍ집례했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