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수출입물가 동향
Ⅰ. 수출물가 동향
1. 개 황
2008년 7월 수출물가(원화기준)는 전월대비 0.1% 상승
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제품, 전기장비제품 등이 수요부진과 환율하락 영향으로 내렸으나 석유화학 및 고무제품, 금속1차제품이 국제유가의 상승과 원재료비 상승분이 제품에 반영되면서 올라 전월대비 0.1% 상승
※ 주요 변동품목 내역 < 전월대비 증감률, %, ( )내는 기여도 %p >
농수산품 1.1(0.006) : 참치 2.4(0.007), 조개 2.2(0.001), 오징어 0.2(0.000), 김 -1.0(-0.001), 배 -1.0(-0.001)
공 산 품 0.1(0.098):
<상승> 방카C유 12.8(0.256), 합성고무 20.2(0.115), 폴리프로필렌수지 8.7(0.093), 열연강대 9.3(0.075), 테레프탈산 3.9(0.055), 폴리에틸렌수지 2.6(0.051), 강관 6.3(0.041), 크실렌 4.0(0.040), 계면활성제 11.1(0.039), 냉연강대 3.1(0.032), 후판 9.4(0.026), 폴리에스터직물 3.2(0.025), 부타디엔 15.7(0.022), ABS수지 2.0(0.019), 윤활유기유 3.3(0.019), 쇠못 6.4(0.017), 알킬벤젠 18.0(0.016), 가구 8.2(0.016)
<하락> 모니터 -11.1(-0.229), 액정표시장치 -11.1(-0.172), 축전지 -10.4(-0.118), 스텐레스강판 -4.2(-0.069), 경유 -1.3(-0.063), 플래시메모리 -16.9(-0.046), 보조기억장치 -5.6(-0.030)
전년동월대비로는 25.1% 상승
한편, 계약통화기준(외화표시 수출가격)으로는 전월대비 1.0% 상승(전년동월대비로는 11.2% 상승)
2. 부문별 동향
농수산품은 수요감소로 김, 배 등이 내렸으나 어획부진과 생산비용 상승 영향으로 참치, 조개 등이 오르면서 전월대비 1.1% 상승
공산품은 수요부진, 업체간 경쟁과 환율하락 영향으로 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제품, 전기장비제품 등이 내렸으나 국제유가 등 원재료 비용의 상승분이 제품에 반영되면서 석유화학 및 고무제품, 금속1차제품이 올라 전월대비 0.1% 상승
ㅇ 석유화학및고무제품(2.3%) : 이소시아네이트, 경유가 내린 반면, 국제유가의 상승 영향으로 방카C유, 합성고무, 폴리프로필렌 등 석유화학제품 대부분이 오르면서 상승
ㅇ 금속1차제품(1.5%) : 니켈가격 하락으로 특수강선재, 스텐레스강판이 내렸으나 고철, 철광석 등 원재료비 상승분이 제품에 반영되면서 열연강대, 강관, 후판, 냉연강대 등이 올라 상승
ㅇ 일반기계및장비제품(-0.5%) : 주로 환율하락의 영향으로 선반, 밸브, 직기 등 대부분의 품목이 내리면서 하락
ㅇ 전기장비제품(-2.0%) : 원재료비 상승으로 발전기, 전자레인지가 올랐으나 납의 국제시세 하락과 업체간 경쟁 격화 등으로 축전지, 냉장고 등이 내려 하락
ㅇ 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품(-3.0%) : D램이 올랐으나 수요부진과 공급과잉 등으로 모니터, 액정표시장치, 플래시메모리 등이 내리면서 하락
ㅇ 운송장비제품(-0.4%) : 현지법인의 판매증대를 위한 가격인하 등으로 하락
Ⅱ. 수입물가 동향
1. 개 황
2008년 7월 수입물가(원화기준)는 전월대비 1.1% 상승
환율하락 및 수요부진 등으로 자본재(-0.7%)와 소비재(-0.3%)는 내린 반면 국제유가 상승과 원자재 가격 상승분의 제품반영 등으로 원자재(1.8%)와 중간재(0.9%)가 올라 전월대비 1.1% 상승
※ 주요 변동품목 내역 < 단위 : %, ( )내는 기여도 %p >
원자재 1.8(0.726) : 원유 2.0(0.562), 액화천연가스 3.0(0.147), 천연인산칼슘 9.0(0.078), 무연탄 10.9(0.021), 천연고무 2.7(0.009), 동광석 0.9(0.009), 옥수수 0.7(0.007), 대두 2.5(0.006), 우라늄 -9.7(-0.012), 철광석 -1.0(-0.013), 밀 -16.0(-0.074)
중간재 0.9(0.413) : 열연강대 23.1(0.271), 슬랩 17.7(0.197), 보통강봉강 13.1(0.066), 크실렌 9.5(0.061), 비료 17.5(0.057), 도금강판 21.5(0.039), 냉연강판 30.2(0.028), 합금철 -5.4(-0.061), 집적회로 -2.2(-0.075), 니켈 -11.5(-0.079)
자본재 -0.7(-0.043) : 웨이퍼가공장비 -0.9(-0.013), 네트웍장비 -5.5(-0.012), 반도체조립및검사장비 -1.0(-0.006), 평판디스플레이제조용기기 -1.2(-0.004), 냉장기기 7.2(0.016)
소비재 -0.3(-0.014) : 과일 -5.3(-0.007), 휴대용저장장치 -11.7(-0.006), 휘발유 -3.9(-0.003), 바지 -1.0(-0.002), 냉동어류 -1.0(-0.002), 디지털카메라 2.9(0.005)
전년동월대비로는 50.6% 상승
한편, 계약통화기준(외화표시 수입가격)으로는 전월대비 2.0% 상승(전년동월대비로는 34.1% 상승)
2. 부문별 동향
원자재는 농림수산품이 내렸으나 광산품이 올라 전월대비 1.8% 상승
ㅇ 농림수산품(-1.6%) : 대두, 옥수수 및 천연고무 등이 기상악화로 인한 생산 감소 예상으로 오른 반면, 작황호조 전망 및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밀, 냉장어류, 과일 등이 내리면서 하락
ㅇ 광산품(2.1%) : 유연탄, 우라늄, 철광석 등이 내렸으나 국제유가 상승과 수요증가 등으로 원유, 액화천연가스, 천연인산칼슘 등이 올라 상승
중간재는 국제시세 및 환율 하락, 수요부진 등으로 비철금속제품과 컴퓨터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제품이 내렸으나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격 상승분의 제품 반영으로 석유화학제품과 철강제품이 올라 전월대비 0.9% 상승
ㅇ 석유제품(0.5%) : 경유, 윤활유 및 휘발유는 내린 반면 액화가스, 방카C유, 부탄가스 등은 올라 소폭 상승
ㅇ 화학제품(1.4%) : 수요감소, 분기 가격조정 등으로 에틸렌글리콜, 안료 및 메탄올 등이 내렸으나 계절적 성수기 및 원유가격의 상승 영향으로 비료, 크실렌, 암모니아 등이 올라 상승
ㅇ 철강1차제품(7.2%) : 합금철, 스텐레스강판 등이 니켈가격 하락으로 내렸으나 열연강대, 슬랩, 보통강봉강 등이 오르면서 상승
ㅇ 비철금속1차제품(-1.1%) : 재고감소 영향 등으로 알루미늄괴, 금괴 등이 올랐으나 니켈, 백금 등을 중심으로 한 비철금속제품은 국제시세가 내리면서 하락
ㅇ 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품(-2.6%) : 계절적 비수기 및 환율하락 영향으로 집적회로, 컴퓨터부품 등 대부분의 제품이 내려 하락
자본재는 환율하락 등의 영향으로 일반기계 및 장비제품과 정밀기계제품 모두 내리면서 전월대비 0.7% 하락
소비재는 내구재 및 준내구재, 비내구재 모두 내려 전월대비 0.3% 하락
ㅇ 내구재 및 준내구재(-0.4%) : 수요감소 등으로 휴대용저장장치, 바지, 셔츠, 컴퓨터 등이 내리면서 하락
ㅇ 비내구재(-0.1%) : 수요부진 등으로 과일, 휘발유, 냉동어류 등을 중심으로 하락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