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徐 2선후퇴' 계기 교섭단체 구성논의 탄력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친박연대가 `양정례 파동'과 관련한 서청원 공동대표의 사실상 2선 후퇴를 계기로 향후 당 진로에 대한 고민에 본격 들어갈 태세다.

친박 무소속 연대와 교섭단체 구성이라는 행동 통일을 다짐했음에도 최근 `양정례 변수'로 교섭단체 구성 논의가 사실상 중단된 상황에서 서청원 대표 2선 후퇴가 논의 진전의 길을 열어줬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이 조만간 18대 원구성 협상에 들어갈 예정인만큼 친박연대가 무조건 복당에만 목을 매다 실기할 경우, 자칫 복당이라는 명분도 원내교섭 단체로서의 권익이라는 실리도 모두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친박연대는 29일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첫 당선자 회의를 연 뒤 인근 중식당에서 바로 비공개 만찬 회동을 가졌다.

명목상으로는 당선자간 소속감을 강화한다는 취지였지만, 상황이 상황인 만큼 현 검찰 수사의 영향과 향후 당 진로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의견 교환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홍사덕 비대위원장은 당선자 회의에서 인사말을 통해 "검찰 수사와 관련한 언론보도가 기우로 끝나도록 제가 깨끗하게 마무리해드리겠다. 일체 걱정하지 말고 알찬 의정활동 준비에 임해달라"고 주문한 뒤 "이명박 정부의 성공 없이 여러분의 성공도 없다. 이 대통령이 외교활동에서 보여준 성과를 의정 활동을 통해 어떻게 보완할 지에 대해 사전에 깊은 연구가 있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건없는 복당'을 주장해 온 홍 위원장인 만큼, 한나라당으로의 복당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박 전 대표의 연이은 복당 요구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 지도부가 요지부동인 상황에서 친박연대 내에서는 일단 독자적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실무 논의를 지금부터라도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점차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핵심당직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로서는 잠시가 되건, 다소 기간이 길어지건 간에 (한나라당) 밖에 있을 준비를 해야하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면서 "원래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걸로 생각했다가 검찰 수사로 잠시 중단된 만큼 서 대표 2선 후퇴를 계기로 교섭단체 구성 방안을 논의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당직자도 "18대 국회 개원전 복당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본다"면서 "홍사덕 비대위원장이 서청원 대표 및 양정례 당선자와 거리를 두면서 조금씩 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실무 작업을 해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고 공감했다.

친박 무소속 연대 핵심관계자는 "무소속 연대가 꺼려했던 서 대표와 양 당선자를 당의 중심에서 배제시키면 교섭단체 구성에 문제될 것이 뭐가 있겠나"라면서 "복당에 대한 한나라당의 입장을 계속 지켜보겠지만, (복당이 무산되는 분위기라면) 한나라당이 원내대표 선출 일정(5월22일)에 맞춰 우리도 내달 15일부터는 교섭단체 구성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친박연대의 한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이 이치에 맞게 국면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복당 허용으로 입장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상황 변화를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향후 이 문제로 당내 혼선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한편 이날 열린 당선자 회의와 만찬에는 현재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비례대표 1번 양정례 당선자가 불참했다.

south@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