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투명경영 정착 계기" 기대 속 우려



(서울=연합뉴스) 산업팀 = 22일 발표된 삼성의 '경영쇄신안'이 이건희 회장의 완전 퇴진 등 그동안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강도높은 내용을 포함한 데 대해 재계는 충격과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경제단체들은 공식적으로 "삼성이 국민으로부터 더 큰 신뢰를 얻고 경제계 전반에 투명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정착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반응을 내놓았지만 많은 기업인들은 '컨트롤 타워'를 잃은 삼성의 앞날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쇄신안'에 대한 재계의 평가는 이처럼 엇갈렸지만 삼성이 과거의 유산을 떨치고 국민경제에 더 큰 기여를 해주기를 바란다는 희망만큼은 다르지 않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공식논평을 통해 "경제계는 삼성그룹이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했던 이건희 회장의 경영 일선퇴진과 전략기획실의 폐지 등을 담고있는 삼성그룹의 쇄신안이 국민의 정서를 고려한 고뇌의 결단이라고 생각하며 충격을 금할 수 없다"고 소회를 밝혔다.

전경련은 "그런 만큼 이제는 삼성과 관련된 추가적 의혹이나 더 이상의 사회적 논쟁을 지양하고, 삼성이 새로운 경영체제하에서도 세계 초일류기업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국민적 성원과 지지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 고위 관계자는 사견임을 전제로 "일사불란한 조직문화와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고 있어 '관리의 삼성'으로 불리던 삼성그룹의 '관리책임자'가 사라진 지금 앞으로 삼성의 의사결정과 경영에 차질은 없을 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룹경영은 세계를 상대로 경쟁해야 하는 한국기업의 특성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던 것도 사실인데 삼성이 개별 기업체제로 갈 경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지 의심스럽다"면서 "'삼성공화국론(論)으로 대표되는 반(反)삼성 기류를 불식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결단으로 국민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경영효율성은 상실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또 "삼성이 지주회사 전환과 순환출자 해소 의지를 밝혔지만 여기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것은 물론 제도적 장애도 있는만큼 정부는 관련제도 개선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공식 논평을 통해 이번 쇄신안이 "삼성이 국민으로부터 더 큰 신뢰를 얻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기업의 투명경영과 사회적 책임을 한단계 진전시키는 것은 물론 우리 사회 전반에 아직도 남아있는 잘못된 관행과 의식을 바로잡는 중요한 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삼성이 뼈를 깎는 자성과 쇄신 의지를 밝힌 만큼 우리 국민도 삼성과 협력업체가 그동안 차질을 빚었던 경영을 정상화하고 국가경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삼성의 쇄신책이 생각보다 강력하고 범위도 포괄적이다"고 분석하고 "이번 조치로 삼성에 대한 국민의 염려, 반삼성정서가 해소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나름대로 전망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건희 회장과 전략기획실이 비난받는 부분도 있지만 오늘날 삼성을 글로벌 브랜드로 키우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므로 앞으로 지배구조 투명성 개선 못지 않게 경영 효율성 유지 측면에도 노력을 해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cwhyna@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