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계개편의 주도권을 놓고 열린우리당 내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통합신당파는 “정권재창출을 위해서는 반한나라당 세력 통합이 필수”라며 통합신당을 밀어붙이고 있고, 재창당파는 통합신당을 ‘지역당’으로 몰아세우며 “전당대회를 통해 당의 진로를 결정하자”고 맞서고 있다.
이러한 당내 현실에 대해 6일 임종인 의원은 “통합신당이나 재창당 모두 정답이 아니다”며 양측을 싸잡아 비판했다.
“반성과 사죄는 청와대가 먼저 해야 한다”
임 의원은 이날 오후 당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우리당의 지지율이 8.8%까지 떨어진 데에는 통합신당파와 재창당파 모두 책임이 있다”며 “한자리수 지지율에서 보듯이 국민들은 어느 쪽이 주도권을 쥐든 관심이 없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우리당과 청와대가 국민의 관심이라도 받으려면 반성부터 해야 한다”며 “국민의 심정은 아랑곳없이 주도권 다툼을 벌여서는 비웃음을 살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반성과 사죄는 재창당파인 청와대가 먼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들이 우리당에 등을 돌린 것은 노무현 대통령의 실정이 가장 큰 원인이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는 최근의 부동산 정책과 취임 초기의 대북송금특검, 이라크 파병과 국가보안법 폐지 실패, 대연정 제안, 한미FTA 등을 노 대통령의 실정의 증거로 들었다.
“전·현직 지도부도 마찬가지로 잘못”
그는 또 “우리당의 전·현직 지도부의 잘못도 노 대통령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창당 과정에서 한나라당에나 어울리는 인사들까지 대거 끌어들여 우리당을 정체성 없는 잡탕정당으로 만들었다”는 게 그 첫 번째 이유다.
그는 “4.15총선에서 서민과 개혁세력의 지지로 과반수 의석을 얻었음에도 총선이 끝나자 바로 우리당의 노선은 개혁이 아니라 실용주의라고 규정해 지지자들이 등을 돌리도록 만들었다”고 지도부를 비판했다.
임 의원은 친재벌정책 양산, 법인세 2%인하, 기업도시특별법 제정, 고가품에 대한 특별소비세 인하, 금산법 개정, 출자총액제한제도 폐지 추진 등이 전·현직 열린우리당 지도부의 잘못으로 들었다.
그는 “사정이 이런데도 양쪽은 지지율 몰락의 책임을 상대방에게만 떠넘기고 서로 정계개편의 주도권을 쥐겠다고 다투고 있다”고 청와대와 당 지도부를 성토하고, “배신당한 서민과 개혁세력의 쓰린 가슴은 아랑곳없이 정치공학을 통해 표를 얻을 궁리만 한다”고 비난했다.
“통합신당이든 재창당이든 ‘도로 우리당’”
그는 “왜 이런 상황이 왔는지에 대한 진지한 반성은 없는 한, 통합신당이든 재창당이든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이념과 노선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고, 사람이 바뀌지도 않기 때문에 멀지 않아 둘 다 ‘도로 우리당’이 되고 만다”는 게 임 의원이 정계개편 실패를 주장하는 이유다.
그는 ‘도로 우리당’에 대해 “말로는 서민과 중산층을 위하는 척 하면서 실제로는 재벌과 특권층을 대변하는 ‘좌파 신자유주의’와 앞으로는 자주를 외치면서 뒤로는 미국의 요구에 철저히 따르는 ‘친미 자주’가 반복될 뿐”이라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이어 현재의 정계개편 논의에 대해서도 “국민은 더 이상 사이비 개혁을 원치 않는다”며 “당 지지율을 한 자리수로 만든 사람들은 자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새 시대를 여는 정계개편은 원칙을 지켜온 사람들이 주도해야 한다”며 “민주개혁세력으로서 철저히 서민과 중산층을 대변해온 사람들을 앞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 “여야와 원내외를 떠나 중도진보 성향의 개혁인사들이 정책모임부터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히고 “우리당에는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국회의원들이 10여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은 정치공학에는 더 이상 속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우리당에는 서민과 중산층, 민주개혁세력과 반대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너무 많다”며 “주체세력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그 첫 번째 과제로, △공공주택 확대 등 서민 주거 안정 △분양원가 공개와 보유세 강화 △중소기업 육성 △졸속으로 추진 중인 한미FTA 반대 △대북포용정책의 지속 등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