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해 해저지명 10곳에 대해 해저지명소위에 등재신청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영진 해양조사원장은 8일 오후 해양수산부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내달 9일 모나코에서 열리는 해저지명소위원회를 앞두고 이달 10일까지인 등록신청 시한에 맞춰 동해해저지명 10곳의 등재신청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우리 이름을 붙인 14개 동해 해저지형 중 일본이 주장하는 자국 배타적경제수역(EEZ)과 겹치는 수역에 있는 울릉분지, 이사부해산, 한국해저간극, 해오름해산 등 4곳을 포함해 14개 모두 등재신청을 하는 안, 이들 4곳을 빼고 명백히 우리 EEZ내에 있는 10개만 등재신청을 하는 안, 아예 하지 않고 다음 기회로 미루는 안 등 3가지 선택지를 갖고 고심을 거듭해왔다.
연 원장은 "해저지명소위의 규정과 절차 등을 감안, 우리 이름을 붙인 14개 동해해저지형 중 올해는 10개 지명만 우선 등재 신청을 하고, 나머지 4개 지명에 대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등재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해저지명 등재 신청은 우리 고유의 권리이므로 등재신청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이번에 등재를 신청하는 동해 해저지형의 이름은 후포퇴, 우산해저절벽, 강원대지, 울릉대지, 온누리분지, 새날분지, 안용복해산, 김인후해산, 이규원해산, 우산해곡 등이다.
해저지명소위는 국제수로기구(IHO)와 국제해양학위원회(IOC)에서 추천한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돼 만장일치제로 의사결정을 하며, 이 중 한국인으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현철 박사가 활동하고 있다.
해저지명소위를 통해 우리식 동해 해저지명이 국제해저지명집에 등재되면 향후 동해 명칭을 관철시켜 나가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6월 해저지명소위에 맞춰 지명등록을 추진하다가 이 사실을 안 일본이 같은 해 4월 독도 주변에서의 수로탐사 계획 공시로 맞불을 놓자 지명등록을 유보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yulsid@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