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박근혜측 "국회의원 입에 재갈물리나" 반발

곽.최 윤리위 회부에 "지도부 편파적"



한나라당 대선주자인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측이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의 거액재산 차명보유설 및 투자운용회사 BBK 관련 의혹 제기 등과 관련해 캠프 소속 곽성문.최경환 의원이 당 윤리위에 회부된데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번 공방이 박 전 대표나 캠프가 주도한 사안이 아니었다는 점과, 과거 이 전 시장측 인사들의 박 전 대표나 캠프 소속 의원들에 대한 공격과 비교할 때 전혀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이 전 시장에 대한 직공 대신 `총구'를 당 지도부로 돌린 셈이다.

지난달 강재섭 대표의 `경선룰 중재안' 당시 제기됐던 당 지도부의 중립성 논란을 다시 제기하려는 듯한 분위기마저 읽혀진다.

박 전 대표의 최측근인 유승민 의원은 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 및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 출연에서 `당 지도부가 최근 공방을 검증을 빙자한 정치공세로 규정한다'는 지적에 대해 "100% 이명박 시장측 논리다. 당 지도부가 왜 이 전 시장측 주장을 일방적으로 편드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이를 정치공세라고 한다면 검증하지 말자는 주장이고 당 지도부까지도 검증의 기본취지를 망각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유 의원은 당 검증위라는 조직을 통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우리 캠프에서 먼저 제기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언론, 전문가, 국민이 지적한 것을 언론에 말하지 말라는 한나라당은 언제부터 비민주적 정당이 됐는지.."라며 "제 인터뷰도 윤리위 회부감"이라고 비꼬았다.

그는 "우리는 정치적 발언하고 거기에 대해 책임을 지는데 표현의 자유를 너무 구속하는 일은 납득할 수 없다. 국회의원 입에 재갈물리는 일 밖에 더 되나"라며 "정두언 협박도 참기 어려운데 지도부가 공천운운하며 협박하는 것은 온당한 처사가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강 대표의 `윤리위 징계자 공천 배제 검토'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캠프 소속의 또 다른 의원은 곽성문.최경환 의원의 윤리위 제소와 관련, "강 대표가 (상대방 편임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냐"면서 "BBK 문제는 이 전 시장이 사기를 친 당사자라면 그날로 후보 자리에서 내려와야 하고 피해자라면 경제대통령 주장이 물거품이 되는 사안이다. 그러니 이 전 시장이 저 난리를 치고, (당 지도부는) BBK에 대해 입도 벙긋 못하게 하려고 저렇게 나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윤리위에 백 번이고 제소해라. 공천 안 받으면 된다"며 "강 대표나 의원직 연연하지 누가 공천에 연연하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선교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이 전 시장측 이재오 최고위원은 캠프 좌장 역할을 하면서 온갖 물의를 일으켰고, 소속 의원들은 박 전 대표를 거명하면서 비방과 음해를 일삼아 왔지만 당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서 "이런 편파적 결정에 대해 더 이상 지켜만 보지 않을 것이다. 이번 결정은 마땅히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캠프측은 X-파일 등 검증 관련 자료가 있을 경우, 곽성문 의원의 경우처럼 개인이 나서지 않고 대신 당 검증위에 관련 자료를 제출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승민 의원은 "X-파일이건 재산문제건 뭔가 정보가 있으면 검증위에 제보를 할 것"이라면서 이 전 시장의 큰 형 상은씨가 설립한 회사 `다스'와 관련해서도 "설립 경위를 보면 의혹이 많다. 예를 들면 이시장 처남 K씨가 30대 젊은 나이에 회사를 설립해 지금 49% 지분을 가진 주주가 됐는데 무슨 경제적 능력이 있어 회사를 설립했느냐를 검증위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전 시장측이 `검증 공방'과 관련, 최경환, 곽성문 의원에 대해 검찰이나 선관위 고발을 검토 중인 것과 관련, 캠프 관계자는 "협박 정치가 도를 더해가고 있다"면서 "만약 고발조치가 이뤄진다면 그 이상의 대응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연합뉴스) south@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