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송복규기자]["신도시 호재 안고 더 오른다" vs "대세 상승 어렵다" 의견 팽팽]

종합부동산세 부과 기준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강남권 재건축아파트가 가격 하락세를 멈추고 매물이 회수되고 있다.

종부세를 피하기 위한 절세 급매물이 상당부분 소화된데다 더이상 세금을 피할 수 없게 되자 차라리 매물을 회수하고 가격을 올려 내놓는 '반(反) 종부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3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는 최근 2∼3일만에 급매물이 사라졌다. 호가도 2000만∼3000만원 정도 뛰었다.

개포주공1단지 11평형은 얼마전 5억7000만원짜리 급매물이 팔린 이후 지난 30일에는 2000만원 오른 5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종전까지 7억2000만∼7억3000만원에 팔렸던 13평형은 7억5000만원에 팔렸고 현재 호가는 7억7000만원까지 올랐다.

개포동 남도공인 관계자는 "보유세 부과일이 임박하면서 재건축 급매물이 빠르게 소화되고 더이상 급매물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고 말했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도 급매물이 쏙 들어갔다. 이 아파트 34평형은 지난 28일 10억9000만원에 팔렸지만 현재는 이보다 7000만원 이상 비싼 11억6000만∼11억7000만원에 매물이 등록돼 있다. 20∼25개에 달했던 매물도 5개로 줄었다.

잠실동 송파공인 관계자는 "급매물은 없고 일반 매물만 남아 있다"며 "매도, 매수자간의 호가가 크게 차이나 계약 성사가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매물이 회수되고 있다. 대치동 명지공인 관계자는 "매도자들이 더이상 가격을 낮출 필요가 없다고 보고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며 "종부세 회피 등 절세용 매물 거래가 끝나 당분간 강보합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분당급 신도시 발표 기대감도 재건축 시장 분위기 반전에 한 몫하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강남의 한 중개업자는 "다음달 분당급 신도시가 발표되면 집값이 연쇄적으로 뛸 것"이라며 "최근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는 화성 등은 강남 수요를 흡수하기 어려워 희소가치가 있는 강남 집값이 더 오르지 않겠느냐는 막연한 기대감도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은 일시적이며 '상승세'로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한다. 급매물이 소화된데 따른 일종의 '착시현상'일 가능성도 크다는 풀이다.

스피드뱅크 박원갑 소장은 "9월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는데다 대출 규제도 여전해 분당급 신도시가 발표되더라도 시장에 미치는 파장은 과거만 못할 것"이라며 "절세매물이 줄어도 처분조건부 매물은 추가로 나올 수 있어 가격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복규기자 cli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