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의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기로 했다.
31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대중교통현황조사 요령'을 일부 개정해 교통복지 지표와 차내 공기질 농도현황을 추가해 올해 말까지 조사한 뒤 내년초 측정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기존에 공항 등 대중 이용 시설물에 대한 실내 공기질을 측정한 적이 있지만 이동 수단인 시내버스 등을 대상으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건교부는 차내 공기질 농도 현황 조사를 위해 교통안전공단에 의뢰해 대중교통수단인 노선버스, 도시철도, 철도의 차내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 현황을 조사할 예정이다.
이같은 조치는 앞서 환경부가 지난 1월 도시철도는 평상시 이산화탄소 2천500ppm 이하, 미세먼지는 200㎍/㎥ 이하, 열차와 버스의 경우 평상시 이산화탄소 2천ppm 이하, 미세먼지는 150㎍/㎥ 이하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정한데 따른 것이다.
건교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대중교통 사업자 등에게 가이드라인을 자율 준수토록 권고한 뒤 이행이 부진한 것으로 판단되면 법 개정 등을 통해 강제 이행 방안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버스나 지하철 내부의 냉난방 실태 조사도 병행된다.
건교부는 이와함께 교통복지지표에 차내 에너지 관리현황도 넣어 냉.난방 온도의 적정성을 체크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버스나 열차를 타면 갑갑하거나 머리가 띵한 경우가 있는데 이번에 대중교통수단 실내 공기질 측정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아울러 지하철 내부가 지나치게 춥거나 더운 경우도 많아 이를 조사해 승객들이 보다 편하게 이용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president21@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