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섭 대표가 국회의원직 사퇴라는 배수진까지 치고 `결단'을 요구하고 있는 경선룰 중재안과 관련, 한나라당 대선주자인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는 13일에도 `원칙 고수'라는 기존 입장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는 모습이었다.
지난 11일부터 공개 일정을 잡지 않은 박 전 대표는 휴일인 이날 오후까지도 일체의 공개 일정을 잡지 않은 채 삼성동 자택에서 향후 상황 전개에 대한 구상에 골몰했다.
박 전 대표는 캠프 측근과의 통화에서 "원칙 고수라는 입장은 불변이다. 그 외에 더 말할 것도 없다"며 단호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 다른 측근과의 전화통화에서는 "불합리보다는 합리가, 비정상보다는 정상이 그리고 무원칙보다는 원칙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 국민은 더 이해해줄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표는 상임전국위 개최 전날인 14일에는 공개 일정을 재개, 수원 권선구와 장안구 당원간담회를 잇따라 갖고 사흘간 `장고'의 결과물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박 전 대표의 캠프도 기존 입장에서 별다른 변화의 기류가 감지되지 않는 분위기였다.
캠프 소속 의원들 대부분은 오전 각자의 지역구 행사에 참석하는 모습이었다.
이정현 공보특보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중재안 중 국민참여투표율을 67%까지 인위적으로 보장한 3항은 현재 높은 지지율을 받고 있는 이 전 시장의 욕심에서 비롯된 것인 만큼 그가 욕심을 버리면 모든 문제는 간단하고도 즉시 해결된다"며 "원칙을 지킨 측에서 원칙에서 벗어나라고 하는 것 보다는 불합리한 주장을 한 쪽이 생각을 바꾸는 것이 합리적이고도 유일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의 측근인 최경환 의원은 이 전 시장측의 `기득권 지키기' 주장에 대해 "웃기는 얘기다. 이미 경준위에서 다 합의해놓고 강 대표가 4.25 재보선 참패 이후 흔들리니까 자리보장을 대가로 협박해 놓고 이제 와서 무슨 기득권 운운 하느냐"라며 "삼척동자도 아는 뻔한 얘기를 가지고 자꾸 그러는 것은 소도 웃을 일이고 이 전 시장만 야비하게 된다"며 이 전 시장측을 비판했다.
그러나 이런 강경 입장 속에서도 마지막까지 `협상'의 끈을 놓지는 않겠다는 분위기도 감지됐다.
캠프의 한 핵심인사는 강 대표의 요구대로 양 대선주자가 상임전국위전에 경선룰과 관련해 합의할 가능성이 있는 지 여부와 관련, "가능성은 열려있다"며 "이는 당이 파국으로 가지 않아야 한다는 공감대에 따른 것"이라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또 다른 캠프 인사는 "두 대선주자가 싸우면서 당 대표가 의원직까지 사퇴하도록 하는 것은 잘못이다. 국민이 우리를 어떻게 보겠느냐"면서 "이 전 시장측이 양보를 안할 경우에 우리가 어떻게 할 지도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강 대표의 중재안 중 선거인단 규모의 23만1천명 수준 확대와 전국 동시선거 및 시.군.구 투표소 설치는 이 전 시장측에 유리한 안이지만 박 전 대표측이 받아들이되, 국민참여투표율 67% 보장 안에 대해서는 이 전 시장측이 양보하는 방안이 `해법'이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지만 이 전 시장측 입장도 완강해 이 역시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캠프는 15일로 예정된 상임전국위에 강 대표의 중재안이 상정되는 것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친박(親朴.친 박근혜) 성향의 상임전국위원들을 통해 나머지 상임전국위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설득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south@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