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폭염특보' 올해부터 시험 발령한다

기상청, 내년 정식 도입…"주의보ㆍ경보로 2단계 경보"

올해 여름부터 무더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폭염특보제'가 시범 운영된 후 내년부터 정식 도입된다.
기상청은 2일 정책 브리핑을 통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올해 여름철 방재기상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안에 따르면 기상청은 폭염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 국가 산업경제 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폭염특보'를 발령키로 했다.
폭염특보는 무더위의 정도에 따라 주의보와 경보 등 2단계로 발효될 예정이다.
현재 주의보와 경보의 발령 기준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기상청 내부적으로는 낮 최고기온이 33도 가량을 넘어설때 폭염주의보를, 35도 가량을 상회하면 폭염경보를 내리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폭염특보 발령시에는 습도 상황도 고려된다.
기상청은 폭염특보 도입을 위해 그동안 외국 사례를 조사했으며 이달중 기온과 습도를 고려한 지수 및 특보기준을 마련하고 다음달 폭염지수 분포도 생산시스템 구축과 특보 시험운영방안을 강구해 7∼9월 시범운영한 뒤 관련법령 개정을 거쳐 2008년부터 공식 시행할 계획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미국과 일본, 영국 등 선진국들은 이미 열파(폭염)특보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지금까지 사계절의 변화 속에서 여름철 더위는 그리 심각하지 않았으나 앞으로는 고온으로 인한 인명피해와 산업 분야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돼 우리 실정에 맞는 열파특보 기준을 만들어 시행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기상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종전의 수치예보과를 수치모델개발팀과 수치자료응용팀, 수치모델운영팀으로 구성된 수치예보센터로 확대 개편했으며 태풍황사팀 인력도 11명에서 14명으로 늘렸고 6명으로 이뤄진 예보상황팀을 신설했다.
또한 중국 기상국으로부터 중국 동해안에 위치한 옌청 레이더 관측소의 관측자료를 받아 기상예보에 활용키로 했으며 수치예보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수평분해능을 30㎞에서 10㎞로 세분화하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chunjs@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