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메이 칼릴자드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23일 부임했다.
의회 인준과정에서 논란을 빚다 지난해 12월 사퇴한 존 볼턴 전 유엔 대사의 후임인 칼릴자드 대사는 볼턴 전 대사와 마찬가지로 딕 체니 부통령을 중심으로 한 부시 행정부 내 강경파로 분류되나 막후 교섭에도 능한 협상가로 알려져 있어 볼턴 전 대사와는 달리 유엔 내에서 소모적인 대립은 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56세인 칼릴자드 대사는 아프가니스탄 출신으로 수니파 무슬림 가정에서 출생해 1979년 시카고대에서 이란 핵개발 계획 관련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컬럼비아대 교수 등을 거쳤다. 미국 시민권은 1984년 취득했다.
그는 걸프전 당시 체니 국방장관의 발탁으로 국방부 정책기획담당 차관보로 재직하면서 중동정책 입안에 참여했고 현 부시 행정부에서는 2001년 탈레반 정권 붕괴 이후 아프간 특사로 임명됐다가 대사까지 지내며 아프간 정부 재건 작업을 지원한 데 이어 2005년부터 주 이라크 대사를 지냈다.
칼릴자드 대사는 대변인을 통해 임기 초반 수개월간은 이란과 레바논, 수단 문제 및 유엔 개혁을 우선 현안으로 두고 이라크에서 유엔의 활동을 확대하는 것에도 주력하겠다고 밝혀 향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에서 어떤 활동을 할지 주목되고 있다.
한편 유엔 안보리 개혁 문제와 관련, 실무그룹 간사단이 지난 3개월간 검토해 총회 의장에게 제출한 보고서가 이날 공개됐으나 관심이 대상인 일본.인도.브라질.독일 등 4개국의 상임이사국 진출 문제 보다는 비상임 이사국 확대 등을 검토할 수 있다는 것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따라서 2005년 불거졌던 이들 4개국의 상임이사국 진출 문제 논의가 재점화되기는 힘들 것으로 유엔의 외교관들은 전망하고 있다.
보고서는 안보리 확대는 유엔 개혁의 필수적인 부분이나 공평한 지리적 배분과 유엔의 목적에 대한 회원국의 기여에 기초해 이뤄져야 한다면서 새로운 비상임 이사국 범주의 신설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안했다.
(유엔본부=연합뉴스) jun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