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육상 100m 한국기록, 계측오류 촌극으로 결론

손해성 10초24 기록, 전자총 감응시스템 오작동



28년 만에 육상 100m 한국기록을 깨트렸다는 소식은 기록 계측 오류로 인한 어처구니없는 촌극으로 결론났다.

대한육상경기연맹은 16일 안동시민운동장에서 열린 제62회 전국대학선수권대회 남자부 100m 준결승에서 손해성(동아대) 등 3명이 서말구(해군사관학교 교수.당시 동아대)가 1979년 멕시코 하계유니버시아드에서 세운 한국기록(10초34)보다 빠른 10초24∼10초31에 각각 결승선을 끊었지만 출발 신호를 알리는 전자총 감응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한 계측 오류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날 레이스에서 손해성은 10초24, 박평환(조선대)과 조영욱(한국체대)은 각각 10초29와 10초31을 뛴 것으로 측정됐다.

그러나 현장에서 시스템을 점검해본 결과 손해성 등의 기록은 전자총 총성 반응을 자동 무선 계측장비가 감지할 때 외부의 전자파와 자기장 간섭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작동을 멈추는 오류에 따라 잘못 측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이날 기록은 비공인으로만 남아있게 되며, 당연히 한국기록으로 인정될 수 없다.

손해성, 박평환, 조영욱이 100m를 주파한 '진짜' 기록은 알 수 없다고 육상연맹은 덧붙였다.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의 하나인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유치한 한국 육상이 국내 대회 도중 심각한 계측 오류를 범함으로써 대회 운영능력 면에서 국제적인 신인도를 크게 실추시켰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대한육상경기연맹은 "안동시민운동장은 스탠드가 낮아 전자파의 간섭을 다른 운동장보다 심하게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동 무선 계측장비 제작사에 관련 자료를 요청하고 긴급 점검반을 구성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손해성은 이날 오후에 열린 대회 결승에서는 10초72를 뛰는 데 그쳐 앞서 열린 준결승 기록보다 무려 0.38초나 뒤졌다.

박평환과 조영욱도 결승에서는 10초73과 10초72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남대부 100m 우승은 10초64를 뛴 김진국(성균관대)이 차지했다.




(서울=연합뉴스) oakchul@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