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화영 "신당창당은 도로 평민당"

KBS 라디오서 주장, "정대철의 인식이 우리가 극복해야 될 정치논리"

 

*사진설명 :ⓒ열린우리당 홈페이지

 

열린우리당의 진로와 정계개편 방향을 둘러싸고 당내 계파 간 힘겨루기가 치열하다. 정동영 전 의장과 김근태 현 당의장에 이어서 천정배 의원까지 신당창당을 공식적으로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을 표명을 한 가운데, 이른바 '친노그룹'으로 분류되는 의정연구센터의 간사를 맡고 있는 이화영 열린우리당 의원은 31일 신당창당에 대해 "평화민주당 체제로 갈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후 'KBS 라디오정보센터 박에스더입니다'에 출연해 "너무 지지도가 낮다고 해서 과거로 돌아가서 '우리 되는 사람들끼리만 모여서 다시 정치를 해보자'라고 하는 발상은 퇴행적"이라며 이와 같이 밝혔다.

이 의원은 또 "당의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정계 개편을 위한 특별 기구를 만드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비판했다. "현재 비대위는 전당대회를 통해서 선출된 지도부가 아니고 그야말로 어려운 시기에 이상하게 당을 관리할 관리지도부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이 의원의 설명이다.

그는 이어 "지금 시기에서 전당대회를 하지 않고 어떤 통합을 위한 기구를 만들려고 하는 발상은 매우 위험하다"며, 당 내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통합수임기구 구성'을 경계했다.

그는 "우리 정당사회에서 봤을 때도 전당대회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는 당내에서 불고 있는 '신당창당론'에 대해서도 "국정감사 중이고 정기국회에 산적한 현안이 있는데 집권 여당에서 이런 논의가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의원은 "당의 지지도가 떨어지고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창당 정신이 있고 그 창당정신이 실현되어 가는 과정도 있기 때문에 우리가 하고자 했던 정치적 방향을 분명히 행하는 것이 필요하지, 대선을 앞두고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통해서 떨어진 지지도를 회복하기 위한 구도나 구상은 국민으로부터도 크게 박수 받지 못할 것"이라고 신당창당론을 거듭 비판했다.

또 민주당과의 분당이 잘못됐다는 시각에 대해서도 이 의원은 "크게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열린우리당을 창당했었던 가장 주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지역구도와 1인 지배 보수정치 또 금권정치 극복이었다"고 설명하고, "지금 그런 부분을 많이 실현해가고 있고 좀 잘못되어져 있는 부분, 특히 서민 경제가 어려운 부분들 같은 것에 대한 진단을 하지 못하고 그런 애초의 창당정신조차 잘못되었었다고 하는 것은 매우 실망스러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엄연히 존재하는 지역주의를 부정해서 호남과 충청표도 잃고 영남 지지도 얻지 못했다'는 정대철 당 상임고문의 발언에 대해서도 "이런 식의 정 고문의 인식이 우리가 극복해야 될 정치논리"라고 비판하고, "앞으로 미래 정당은 우리 정당은 정책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어떤 특정지역을 거점으로 해서 그 거점을 기본으로 하는 정치구도를 계속 상정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퇴행"이라며 "(이는) 정치를 전근대적으로 다시 되돌려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방송에서 이 의원은 열린우리당의 지지율 하락에 대해 "한 마디로 정당으로서의 기본에 우리가 상당히 소홀했다"고 고백했다. 그는 △당의 대국민홍보 부족 △지도라인의 분열상 △잦은 지도부 교체 등을 그 구체적인 이유로 들었다.

이 의원은 '호남표를 일단 얻고 거기서 충청으로 확산하고 거기서 영남표까지 얻자'는 식의 신당창당론자들의 주장에 대해 "그런 상황이 오면 평화민주당 체제로 갈 우려가 높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영남뿐만 아니라 전 국민과 전 지역을 아우를 수 있는 그런 부분들에 대한 것은 반드시 정책정당을 실현해야 하는 것이지 어떤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정계개편을 가지고 되는 일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