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무현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정 정치협상회의’에 대해 한나라당이 “사석작전에 말려들 필요가 없다”며 이를 공식 거부한 가운데, 오는 30일로 예정된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임명동의안’ 처리와 관련해 열린우리당은 27일 “전 후보자는 사석이 아니며, 30일 임명동의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처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병호 열린우리당 제1정조위원장은 이날 오전 ‘CBS 뉴스레이다’에 출연해 “우리 여권에서 전효숙 소장 카드를 버린 것은 아니고 이번 11월 30일날 본회의 때 상정해서 처리 할 생각으로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 후보자가 자진사퇴할 것’이라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전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는 것만이 현 정국을 타개하는 유일한 길’이라는 여권 내부의 일부 핵심인사들의 주장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전 후보자 문제가 정국의 한 핵심에 있고 정부 현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의 문제를 벗어났다고 본다”며 “사퇴하는 것보다는 오는 30일 표결을 통해서 결정을 하는 것이 민주주의 원리에 더 맞다”고 주장했다.
문 의원은 또 한나라당이 KBS 사장으로 재임명된 정연주 씨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가지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사전에 각본을 짜서 지시했다 이런 얘기가 나오는데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며 “이사회에서 나름대로 법적 절차에 따라서 추천하고 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대통령이 임명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노 대통령의 ‘여·야·정 정치협상회의’ 제안 배경에 대해 “진정성을 가지고 했다”고 평가하고, “김근태 의장과 김한길 원내대표, 한명숙 총리, 이병완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주말 만나 사전에 상의한 것으로 안다”며 항간에서 주장하는 ‘청와대 단독 작품설’을 부인했다.
사법개혁안 처리 지연과 관련해 문 의원은 “우리당에 입당한 변호사 출신 의원들은 전부 찬성하고 있는데, 한나라당 의원들이 주로 반대하고 있어서 여야 간에 대립이 되고 있는 것이지, 변호사 출신들이 반대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변호사 출신인 문 의원은 한나라당이 로스쿨 제도에 대해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 “한나라당은 학비가 비싸서 좀 어려운 분들이 가기 힘들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는 여야 간의 전선구조지, 변호사들이 반대해서 안 되고 있는 것은 분명히 아니다”고 ‘변호사 출신 국회의원들이 기득권을 깨지 않으려고 법 처치를 미루고 있다’는 국민적 시각에 대해 해명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