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박준식기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외아들 조원태 대한항공 상무보(32)가 정보기술(IT) 회사, 유니컨버스의 대표이사에 취임하면서 후계자로서의 지위가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조 상무보는 대한항공 자재부 총괄팀장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 계열사를 이끈다는 게 한진그룹의 설명이다.
한진그룹 주력사 대한항공은 지난 5일 유니컨버스를 전격적으로 계열사에 편입시켰다.
경영자 수업을 받던 그가 왜 갑자기 IT 회사를 맡게 됐는지, 이 회사가 앞으로 한진그룹 후계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진그룹은 유니컨버스가 통합커뮤니케이션(UC) 서비스 사업을 하게 된다고 밝혔다. UC란 유무선전화와 메신저, 이메일, 보이스메일, 영상통화 등 웹을 이용한 원격 통신수단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일부에서는 유니컨버스가 공표한 사업 외에 인터넷 전화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인터넷 전화도 UC서비스에 포함되고 넓은 시각에서 보면 UC는 SI(시스템 통합) 사업의 테두리 내에 있다.
문제는 한진그룹이 이미 한진정보통신이라는 그룹내 SI전문 자회사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한진정보통신이 추가적으로 해도 될 사업을 굳이 독립시켜 조 상무에게 대표를 맡긴 것이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앞으로 그룹 내 계열사 통신망에도 인터넷 전화가 이용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며 "여기에는 대한항공을 비롯, 한진해운과 ㈜한진 등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룹 주력계열사 대부분이 신생 계열사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 상무보가 첫 경영수업을 한진정보통신에서 시작했고 IT계열 신사업에 대한 의지가 확고해 계열사를 만들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유니컨버스의 최대주주와 조원태 상무보의 지분율에 대해서는 "계열사이지만 소통이 막혀있어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한진그룹은 지난 5일 대한항공을 통해 에쓰오일 자사주 28.41%(3198만3000주)를 전격 인수해 자산총액을 23조1020억원으로 늘려 재계 순위 6위로 뛰어올랐다. 그룹의 사세는 나날히 커가고 있다.
하지만 10위권 내 다른 그룹들에 비해 한진그룹의 3세 승계구도는 진도가 느린 편이다. 특히 조 상무보는 지난해까지 미국과 중국을 오가며 MBA(경영학석사) 코스를 밟느라 경영에 본격적으로 나설 기회를 갖지 못했다.
지난해 결혼후 일가를 이룬 조 상무보는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경영활동에 전념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또 IT사업은 한진그룹이 개척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는 여지가 크고 자신 스스로도 주종목이라 할 만큼 정통한 분야다.
여기에 조 상무보를 직접적으로 지원할 베테랑 전문가도 있다. 유니컨버스의 이사로 황용승 전 대한항공 정보시스템BU장과 한진정보통신 김성수 사장이 선임됐다.
조상무보가 어떤 성과를 내고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를 받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박준식기자 win0479@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