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북한은 대북특사로 박근혜 원한다"

최성,CBS 출연 "북측, 금융제재 해결 여지 보이면 6자회담 복귀"

북핵 문제 해결의 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대북 특사단 방북'과 관련해, 북측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대북 특사의 적임자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사실은 최성 열린우리당 의원에 의해 밝혀졌다. 최 의원은 23일 CBS '시사자키 오늘과 내일'에 출연해 "(22일 베이징에서 만난 북측 인사가) 여당의 경우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야당의 경우는 전직 대표"라고 전했다.

최성, "6자회담 복귀 후 대북금융제재 풀라는 게 북측 입장"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소속으로 주중 한국대사관에 대한 국정감사를 위해 중국을 방문 중인 최 의원은 이날 방송에서 "(북측 고위인사가) 與野 공동의 초당적인 대북특사단을 구성하면, 적극적인 검토 용의가 있으며, 충분히 성사가 가능하다"며, 자신과 만난 북측 고위 인사를 "북중관계와 남북관계에 책임자적인 위치에 있는 베이징의 참사급 이상의 인물이고, 북한 대사관과도 직간접적으로 연계돼서 오랫동안 종사했던 분"이라고 소개했다.

최 의원은 또 "'대북정책이 힘을 받으려면, 야당의 지지도 받아야 하고, 또 임기 말 레임덕 현상과 미국과의 관계 등을 감안해서, 여야 대표가 공동으로 초당적인 방북특사단을 구성할 것'을 북측 고위인사가 언급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과거에는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금융제재 해제를 요구했으나 최근 '6자회담에 복귀하면 금융제재를 풀라'는 식으로 북측의 태도가 바뀐 것과 관련, "과거에는 BDA(방코델타아시아은행) 문제를 완벽히 풀지 않으면 나가지 않겠다는 입장이었는데 이제는 이 문제를 내부적으로 북미 간에 논의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을 제기하면 거기에 대한 수정 보안을 하고, 필요하면 책임자를 처벌할 의사까지 표명했다"고 전했다.

즉, BDA 문제의 해결 여지만 보이면 북한이 먼저 6자회담에 나가서 핵 문제 등 전반적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한 면에서는 과거보다 훨씬 전향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고 최 의원은 분석했다.

이는 지금껏 6자회담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목돼온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와 관련해 모종의 타협안이 제시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북한은 과거 일본인 납치문제를 전면 부인하는 태도를 보이다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납치를 시인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한 바 있다.

최 의원은 "최악의 경우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이 이뤄지면 우리는 한국이나 일본에 있는 해외 주둔 미군기지를 향해 전면전을 불사할 것"이라는 북측의 발언에 대해서도 "이는 북한의 연포성 발언이고, 지금 상황에 대한 북한의 위기감을 반영한 발언이라고 볼 수 있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DJ 특사 무산은 개인자격 방북에 대한 부담 때문"

그는 또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북 무산 건'에 대해서 북측 인사가 "당시에는 미국 측이 달가워하지 않는 상황이었고, 또 북미 관계에 있어서 김 전 대통령이 중재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데, 노무현 대통령의 공식 특사가 아닌 개인 자격으로 왔을 경우 북측도 부담이 있고, 김 전 대통령도 부담을 느끼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고 전했다.

최 의원은 그러나 "(북측 인사가) 최근 김대중 전 대통령이 북핵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언급을 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상황을 정확히 꿰뚫어보고 있고, 큰 역할을 하실 것이라고 기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밝혔다.

그는 북측 인사가 "'대북 정책이 힘을 받으려면 남쪽 상황을 잘 알고 있어서 야당의 지지도 받아야 하고, 또 임기 말 레임덕 상황과 미국과의 관계 등을 감안해서 여야의 대표가 공동으로 초당적인 방북 특사단을 구성하면 오히려 북측에서 적극적인 검토 용의가 있고, 충분히 성사 가능하다'는 언급을 했다는 점이 상당히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23일 주중 한국대사관에 대한 국감에서 김하중 대사는 북핵 상황에 대한 판단을 묻는 질문에 "현 시점에서 유엔 제재위원회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가 가장 중요한 변수"라며 "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답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