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정용화, "광주, 호남의 위치...왜 김종필 전 총리는 내각제를 주장했는가"

"호남...정치·제도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야...호남 인물 호남이 키워야"


정용화 호남미래연대이사장은 "호남의 힘을 키우고 호남이 잘살기 위해서는 지역민들이 호남의 인재를 키우는 길이 최우선적으로 실천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 이사장은 13일 한 인터넷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광주시장과 2번의 국회의원 출마를 통해 소외된 호남을 어떤 방법이든 대한민국의 당당한 지역으로 내세우고 호남을 잘살기 위한 정치적 선택이었다"고 전제한 뒤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점점 소외당하고 있는 호남이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내년 6.4지방선거와 함께 안철수 신당 출현을 앞두고 각 정파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는 정 이사장은 "광주와 호남이 일당체제가 깨져야 한다는 일념으로 당선이 어려울 것을 뻔히 알면서도 광주에서 3번 출마했었다"며 "현 정국에서 광주와 호남은 정치적 선택을 잘해야 하고 지역민들 역시 지역인재를 키우는 진정한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 비서관을 지내고 한나라당 호남발전특위 위원장을 맡아 지역을 파악해 보면서 박근혜 비대위원장 시절 호남을 위한 발전과 비전제시를 요구했으나 답이 없어 탈당을 결행했다"며 "아쉬운 것은 호남이 점점 고립되는 것을 보고 있으면서도 자신들의 출세만 생각하고 있는 지역출신 정치인들이 안타깝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또한, 그는 "충청도에 안희정 도지사를 인물로 키우는 충청인들의 전략적인 선택과 함께 새누리당에서도 이완구 의원 등 충청지역 인물을 키워주고 있지만, 호남에서는 인재를 키우는 일에 너무 소홀하다"며 "노무현을 무작정 따랐던 민주당 정치인들의 현주소가 어떤지 지역 정치인들이 한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 이사장은 "이제야말로 진정한 새로운 정치가 필요한데 줄서기만 하는 지역 정치인들의 경쟁력 약화가 호남의 발전이 더뎌지고 있다"며 "이제 지역민들이 지역 정치력 강화를 위해 호남 인물을 키워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왜 광주은행의 지역환원이 필요한지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 이유에 대해 그는 "호남 정치인 누구 하나 목소리만 광주은행의 지역환원을 외치고 있는 현실이다"며 "광주 경제 현실을 보다 못해 자비를 들여 ‘광주은행 상생의 민영화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상기시켰다.

정 이사장은 "이젠 호남이 고립된 만큼 개헌을 통해 호남이 어떻게 해야 사는 길인지를 살펴야 한다"며 "대통령 선거는 양당 구조로 치를 수 밖에 없고, 민주당에서는 탈호남 하려고 하고 새누리당에서는 비호남, 고립정책에 그 안에서 개혁해보려고 하지만 호남이 고립되어 가는 것이 분명해진 만큼 정치개혁이 필연적이다"고 역설했다.

특히 정 이사장은 "호남이 노무현을 90% 이상 뽑았어도 그 결과 어떻게 됐는가? 결국, 결론은 호남 사람을 당장은 아니더라도 길게 보고 키워내지 않으면 답은 없다. 계속 줄 서다가 끝날 것이다"며 "호남이 스스로 자처한 만큼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4년, 5년, 10년 뒤를 보고 하지 않으면 호남은 완전히 외면과 배제 속에 소외되면서 영향력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 이사장은 "새 정치를 하려면 자기 목소리를 내는 것이지 실현 가능성부터 따져 갖고 주저앉으면 되겠느냐"며 "새로운 정치는 자기 목소리를 내서 국민의 공감을 얻으면 되는 것이다"고 제시했다.

더불어 그는 "우리나라 대선이라는 것이 결국은 양당구조로 간다. 그러면 제3당이 의미를 가지려면 다당제 구조로 가야 되는데 그러면 개헌을 해야 한다"며 "다당제 구조로 가야 연립정부가 가능하고 소수당이 살아남아 캐스팅보트가 되는 만큼 우리는 독일을 배워야 한다"며 향후 정치 지형을 전망했다.

그는 "왜 김종필 전 총리가 내각제를 주장했겠는가. 그때는 충청도가 소수파 정당 세력이었지만, 지금은 충청도가 호남보다 인구가 더 많아지고 국회의장부터 다 충청도 출신들이 주류에 올라섰고, 앞으로는 충청도가 주류가 될 것이다"며 "호남이 살기 위해서는 인물을 호남이 키워야 하고, 또 하나는 호남이 살아가는 제도적인 방법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이사장은 "지난 정부 이명박 대통령을 선택한 것은 호남의 미래를 위한 전략적 선택을 한 것이었다"며 "내 고향(호남)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 남들이 안 해본 일에 도전하기 위해 3번의 선거에 나섰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지역주의 정치 극복과 호남 발전을 위해 온몸을 내던진 정용화. 안철수 신당 출현과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아무도 걷지 않으려는 길’을 자청해서 가고 있는 정 이사장의 정치적 선택이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