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사라진 3500억' 전북 익산 유명 골프장 회원권 사기 분양 파문

피해자들 "해마다 수백억원 적자는 회계조작" 의혹 제기..."검찰 수사 촉구"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 위치한 한 유명 골프장이 도산하면서 수천여명에 달하는 피해자가 발생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 골프장은 지난 2001년부터 시작해 2007년 18홀 규모로 개장했고 2012년 4월에는 36홀 규모로 확장하며 전라북도에 체육시설업 등록까지 마쳤으나, 경기침체에 따른 이용객 급감 등으로 해마다 수백원의 적자를 기록한 끝에 마침내 올해 들어 사실상 파산상태에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법원에 제출된 회사 조사보고서 등에 따르면 골프장 회원숫자는 올 6월 기준으로 1100여명, 회원권 금액은 총 1770억 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신탁회사 채권 710억과 금융기관 채권 326억 원 등을 포함하면 이 회사는 총 3000억 원을 훌쩍 넘는 빚을 안고 있다.

반면 신탁자산을 포함한 남은 자산은 1848억 원 이지만, 신탁회사에 넘긴 부동산자산을 제외하면 실제 이 회사의 자산은 64억 원 에 불과하고 그나마 43억 원 대여금을 제외하면 이 회사는 사실상 깡통이나 다름없다.

초기 설립자본금은 불과 50억 원밖에 안된 회사가 은행차입금이나 회원권 판매 등을 통해 무려 3000억 원의 자금을 외부로부터 조달한 것이다.

이 회사는 그 와중에 무려 3000억 원에 달하는 누적적자를 기록하며 외부에서 조달한 돈을 거의 다 까먹었다.

문제는 회사 경영진이 해마다 발생하는 수백원의 적자를 메우기 위해 관계기관으로부터 제대로 신고도 하지 않고 무리하게 회원권을 남발한 정황.

이 때문에 영문도 모른 피해자가 속출했다.

심지어 지역의 모 중소기업인은 골프장 공사를 주겠다는 말에 속아13억 원의 은행대출을 받아 몇 장의 회원권을 샀다가 공사는 커녕 빚더미로 도산위기에 몰려 있다.

공사대금을 회원권으로 대신 받은 한 납품업자는 골프장이 빚더미에 깔리자 불안감에 잠을 설치고 있다.

게다가 수천억 원의 돈이 어디에 사용됐는지 제대로 확인조차 할 수 없어 피해자들은 발발 동동 구르고 있다.

실제로 회원권 판매대금 1800억 원 중 상당한 금액의 돈 행방이 묘연하다.

이와 관련 비상대책위원회 윤명식 부회장은 “2011년 2월까지 전라북도에 신고된 회원권 판매액은 814건에 923억 원이었지만 지금 회계자료엔 1800억에 달한다”면서 “이상한 점은 그 사이 회원 수 증가는 불과 2백 명밖에 안된다는 점이다”며 “800여억 원의 돈의 출처가 없다”고 밝혔다.

피해자들은 해마다 수백억 원의 적자를 낸 이유가 경영진의 횡령을 감추기 위한 회계조작으로 보고 진상을 파악 중에 있다.

게다가 올 중순 회사가 회생절차를 진행하면서 회사가 제시한 재무제표상의 자산과 회계법인 실사결과 밝혀진 자산 평가 차액이 무려 7백억 원이 넘어 전형적인 분식회계와 부실 방만 경영에 따른 책임추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회사 측은 계속된 적자로 인한 막대한 부채를 갚을 능력이 없자 올 중순 법원에 회생신청을 했지만 피해자들은 부도덕한 경영진에게 또다시 회사를 맡길 수 없다며 회생에 반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골프회원권 피해자 150여명은 27일 오후 4시 골프장내에서 비상대책위원회를 소집해 집행부를 새롭게 선출하고 회사 측의 부실경영과 사기분양 등에 관해 민·형사상 법적조치를 취하기로 결의했다.

그동안 비상대책위원회를 이끌던 임환식 위원장은 이날 “은행 빚과 회원권은 물론이고 심지어 몇 만 원짜리 정수기 필터 교체비 조차 주지 않은 부채가 무려 35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부실경영을 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무차별적으로 회원권을 남발해 끌어다 쓴 돈은 다 어디로 갔냐”며 “사기·횡령·배임 혐의가 확인된 대로 경영진에 대한 고소조치는 물론이고 이를 묵인한 익산시와 전라북도도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분개했다.

이날 위원장에 선출된 이강수 회장은 회사가 기업회생을 신청한 것과 관련해 “부도덕한 경영진이 회생제도를 악용해 앞으로도 10년간 경영하겠다고 하는 것은 피해자들을 두 번 죽이는 일”이라며 “부도덕한 경영진이 진행하는 회생절차에 결사반대 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 참석해 비대위 고문으로 위촉된 최세영 변호사도 “익산시가 자본금 50억 원에 불과한 회사에게 골프장 사업을 허가해 준 자체가 특혜였다”면서 “주민들의 땅을 공시지가로 수용해 업자에게 그대로 넘긴 경우가 어딨냐”며 특혜의혹을 제기했다.

다른 관계자는 “골프장이 노무현 정부 당시 인허가가 이뤄졌다”면서 “당시 인허가 과정에서 권력 실세의 힘이 작용하지 않고선 이런 특혜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지난 정권의 비리가능성도 터져나왔다.

한편 기업회생 절차가 결정된 전북 익산시 웅포골프장 회원(1천100여명)들은 지난 21일 "불법 대출 및 대여로 회사에 21억원의 손해를 끼쳤다"며 김승학(66) 회장을 업무상 배임 혐의로 전주지검에 고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