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서명훈기자][금감위, 신용융자 잔고 매일 점검키로]
앞으로 투자자의 소득이나 신용도 등에 따라 신용거래 한도가 차등화될 전망이다. 또한 금융감독 당국은 신용거래제도가 정착될 때까지 증권사별 신용융자잔고 변동상황을 매일 점검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위원회 김주현 감독정책2국장은 5일 정례 브리핑에서 “증권사들이 회사 전체 및 개인별 신용융자 한도를 설정해 운용하고 있지만 투자자 개인별 상환능력 등 리스크 관리 필수요소가 고려되고 있지 않다”며 “이에 따라 증권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증권사 및 투자자의 손실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금감위는 고객별 상환능력이나 신용도를 고려하는 선진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선진 금융기관 및 국내 증권사의 우수사례를 발굴하기로 했다.
현재 증권사들은 신용거래 대상 종목을 중심으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보증금률(30~50%)이나 담보유지비율(130~150%), 추가담보 납부기한(1~4일) 등을 종목별로 차등 적용하고 주가가 급등락하는 종목은 신용거래를 금지하고 있다. 또 회사 전체 및 개인별 신용융자한도를 설정,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의 신용도와 상환능력은 대부분 반영하지 않고 있다.
금감위는 또 증권사가 투자자에게 신용거래의 위험성을 정확히 고지하도록 지도하고 증권사별 신용융자잔고 변동상황을 매일 점검하기로 했다. 점검 결과 이상 징후가 발견된 증권사에 대해서는 현장조사 등 중점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 국장은 “전체 증권사를 대상으로 융자한도와 신용거래보증금률 등 신용융자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인 방향이 결정된 단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5월말 현재 신용융자잔고는 4조8700억원으로 불과 5개월만에 4조3700억원이 급증했다. 특히 증시가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한 4월 이후 순유입액만 3조6000억원에 달했다. 증권사별로는 상위 8개사의 신용융자잔고가 3조6500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하는 등 대형사에 집중되고 있다.
서명훈기자 mhsuh@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