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김익태기자]한·중·일 3국이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연료전지의 국제 표준화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오는 8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한·중·일 국제표준 공동 대응을 위한 '수소연료전지 국제표준 세미나'를 개최키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한국정밀화학공업진흥회와 중국표준협회가 '수소에너지 표준화 공동대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수소연료와 수소감지기 국제표준화 회의도 6일부터 9일까지 같은 장소에서 개최된다.
최근 세계 각국은 수소의 제조·저장·이용에 관한 3대 핵심기술과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발·보급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6년부터 2년간 900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연료전지자동차'와 '가정용연료전지시스템'의 모니터링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열리는 세미나는 수소연료와 수소감지기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반 회의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된다. 이를 계기로 2009년에는 ISO/TC197(수소에너지)와 IEC/TC105(연료전지) 국제표준화 총회도 우리나라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수소연료 표준화는 연료전지자동차에 사용되는 수소연료의 품질기준을 정하는데 주력하고 있고, 수소감지기는 수소시스템의 누출수소를 감지하는 장치로 세부규격을 정하는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기표원 윤종구 에너지물류표준팀장은 "향후 태양광, 풍력분야 등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 전반에 대한 동북아 공동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표준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익태기자 eppi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