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중국의 조선산업이 양적으로 우리나라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해 견제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4일 `중국 조선산업의 성장과 대응방안' 이라는 보고서에서 "중국 조선산업은 올해 들어 4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5% 증가한 850만CGT(보정 총 톤수)를 수주해 우리나라의 수주율을 초과했다"면서 "중국은 지난해부터 수주와 수주잔량에서 일본을 추월했으며 최근 들어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같은 수주 호조에 힘입어 2005년 말 세계 10위에 불과하던 중국의 대련선박중공은 올해 3월에는 수주잔량 기준 5위로 도약했고, 현재 중국은 3월 수주잔량 기준 세계 100대 조선소 중 가장 많은 31개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30개, 한국은 15개 기업이 100대 조선소에 포함돼 있다.

연구소는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조선강국으로 등극한 이후 지금까지 모든 지표에서 경쟁국에 비해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2000년 세계 시장 점유율이 10%에도 못 미치던 중국은 불과 몇 년 사이에 양적으로 우리나라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추격자의 입장에서 일본 따라잡기에 주력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중국의 성장을 견제하는 수성의 전략이 미흡했던 만큼, 자축보다는 편안할 때 위기를 대비하는 마음가짐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연구소는 말했다.

연구소는 올해 들어 중국이 수주한 선박의 절반 이상이 기술적 난이도와 부가가치가 낮은 벌크선에 집중돼 있었던 반면 우리나라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을 석권하며 기술과 생산능력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주력선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은 아직 경쟁단계에 진입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현재 중국 근로자의 임금은 우리나라의 5분의 1 내지 6분의 1 수준이지만 생산성이 떨어져 전체적인 가격경쟁력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황이고 기술경쟁력도 우리나라는 기자재의 국산화율이 90%에 달하는 반면 중국은 40%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그러나 중국 조선업체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LNG선 등 한국의 주력 선종에 대해 건조 경험을 축적하기 시작한데다 중국은 2015년 우리나라 추월을 목표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2010년 이후에는 중국의 설비증설로 인한 공급과잉에 따라 조선경기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소는 이에 따라 중국 조선산업 성장이 우리나라에 미칠 가장 큰 영향은 기술적인 추격보다는 선박 가격 하락으로 인한 기업 채산성 악화이며, 우리나라 조선소 중에는 중소형 조선소가 우선적으로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조선산업의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선박을 개발하고, 2010년 이후 중국과 가격경쟁에 승리할 수 있을 정도로 원가를 절감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며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로열티 지출을 절감하는 한편, 저가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해외 생산기지를 기술유출 가능성이 적은 직접투자 방식으로 확보해 가격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연구소는 조언했다.

(서울=연합뉴스) yulsid@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