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김익태기자]정부가 이란과 석유 및 가스 개발 등 자원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자료를 내놓았다 미국의 눈치를 보며 뒤늦게 정정하는 일이 벌어졌다.

산업자원부는 4일 오전에 이재훈 산자부 2차관이 이날 오후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아시아 협력대화(ACD) 참가차 방한한 마흐디 모스타파비 이란 외교부 차관과 면담을 갖고 한-이란간 에너지 자원협력 문제를 논의한다는 내용의 보도참고자료를 배포했다.

양측 협력이 본격화하면 이란 유전개발에 한국기업의 참여와 2010년 이후 액화천연가스(LNG) 장기 공급계약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는 내용이었다.

현재 세계 2위의 원유 보유국인 이란에 국내 기업이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자원확보를 위해 이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차관이 모처럼 한국을 찾은 이란 고위 관계자를 만나 당연히 논의할만한 상황이다.

그러나 자료 배포 후 산자부는 곧바로 외교통상부의 협조요청이 있었다며 관련 자료를 기사화하지 말아 줄 것으로 요구했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핵문제 등으로 이란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던 것.

미국은 이란을 북한 쿠바 시리아 수단 등과 함께 테러지원국 명단에 등재해놓고 있는 상태다. 이란의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지원하는 외국기업들에 제재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행태는 지나치게 미국의 눈치를 살피는 저자세 외교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경우 지난 5월 초 자국이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 발표한 5개국 가운데 시리아와 외무장관회담을 갖고 적성국과의 외교에 나선 바 있다. 이집트에서 개최된 이라크 재건지원 국제회의에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알리드 알-무알렘 시리아 외무장관과 2년여만에 처음으로 양국간 고위접촉을 했던 것.

미국이 자국 이익을 위해 활발한 이면외교를 펼치는 데 정작 자원외교가 절실한 한국은 눈치만 살피고 있는 모양새다. 산자부 관계자는 "양측이 만난 자리에서 우리 정부가 에너지 자원 협력 문제를 제시한 것은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외교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어 보도 자제를 요청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익태기자 eppi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