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임지수기자][정통부, IT 종합정보데이터베이스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정보기술(IT) 관련 종사자들이 체감하기에 최근 3년간 가장 성장한 IT839 전략 분야는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디지털TV(DTV) 서비스, 향후 가장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는 와이브로와 RFID(전자태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와이브로와 RFID 분야는 앞으로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어 추진해야 할 분야 1, 2위로 동시에 뽑혔다.

정보통신부는 31일 IT 관련 종사자의 IT839 전략에 대한 인지도 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IT839 정책이나 전략품목에 대해서 들어본 경험이 있는 IT 관련 종사자는 전체 응답자의 93.4%로 대부분의 IT 관련 종사자들이 IT839 정책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지난 3년간 가장 많은 성장을 이룬 분야는 DMB·DTV 서비스(61.3%)가 꼽혔고 앞으로 3년간 가장 성장할 것으로 생각되는 전략 분야로는 와이브로(38.3%), RFID·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31.8%), HSDPA(이동영상전화)·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29.0%) 순으로 나타났다.

실생활에 유익하리라 생각되는 IT839 분야로는 와이브로가 44.4%로 가장 높았으며, 유-홈(u-Home) 서비스(42.8%), 텔레매틱스(29.3%), 광대역 융합 서비스(22.0%)의 순으로 응답됐다.

IT 관련 종사자들이 체감하기에 IT839 전략 분야 가운데 현재 세계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기술로는 와이브로(80.5%), DMB·DTV(56.6%), HSDPA·WCDMA(39.7%)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앞으로 가장 역점을 두어 추진해야 할 IT839 전략 분야로는 와이브로가 첫째로 꼽혔고(31.4%), 이어 RFID·USN(29.0%), 광대역 융합 서비스(27.5%), 지능형 로봇(27.3%) 순이었다.

IT839 전략이 국내 IT산업 발전에 미치는 기여도에 대하여 79.1%가 ‘매우 그렇다(34.7%) 또는 그렇다(44.4%)’라고 긍정적으로 응답했으며 경제성장과 국가 이미지 향상에 미치는 기여도 역시 긍정 응답 비율이 각각 73.3%, 75.3%로 나타났다. IT839 전략이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할 필요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89.4%가 ‘매우 그렇다(52.0%) 또는 그렇다(37.4%)’라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국내 IT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정책과제로는 IT기반 산업 융합 촉진(66.4%), IT부품소재 육성(49.0%), 원천기술개발 강화(40.7%)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IT 종합정보데이터베이스(www.itfind.or.kr) 이용자 중 이메일 발송에 응답한 총 977명(회사원 64.7%, 연구원 16.1%, 학생 7.7% 등)을 대상으로 지난 2월 온라인으로 시행됐다. 신뢰수준 95%에 허용오차는 ±3%.
임지수기자 ljs@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