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신수영기자]성공적인 산학연 연계를 위해서는 각 연구주체에 대한 평가를 강화, 정부차원의 성과배분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관순 한미약품 연구소장은 30일 대치동 섬유센터에서 열린 '한미 FTA 후속 신약개발 촉진을 위한 산학연 토론'에서 "신약 후보물질 개발이 활발해지기 위해서는 누가 신약을 개발하느냐를 두고 갈등을 했던 기존의 분위기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소장은 "현재까지 정부 신약개발 후보물질 도출사업이 원활이 수행되지 않은 이유는 우수 후보물질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도출하느냐보다 누가 하느냐에 각 연구 주체들이 중점을 뒀기 때문"이라며 "이는 이제까지 신약개발 성공시 성과배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나 원칙이 없었던 데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향후 국가 신약개발 후보물질 도출 사업 수행시 성과배분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원칙을 마련해야 효율적인 산학연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특히 대형 국가 연구 사업에는 성과배분이 매우 확실해야 한다"며 "신약개발 전주기를 감안해서 개발된 신약의 효과를 기본으로 한 성과배분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누가 개발하느냐보다 어떻게 효율적으로 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지적. 그는 특히 "신약개발 전주기를 볼 때 상업화에 성공해야 본격적 성과배분이 가능한 만큼, 장기적인 파트너십 개념의 성과배분 모델이 합리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 소장은 아울러 국내 신약개발의 문제점에 대해 방향성 있는 연구의 부족과 기업의 소극성 등을 지적했다. 그는 "신약 후보물질로 발전할 수 있는 탐색단계에서의 타깃연구가 부족하다"며 "바이오 분야 기초 연구 수준은 높아졌지만 실제 신약으로 발전하는 경우는 많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기업의 경우 도출된 후보물질을 라이선싱인(기술수입)하는 데 소극적이다"며 "마땅한 후보물질이 없는 이유도 있고, 실패에 대한 부담이 작용한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 기초연구와 신약 타깃에 대한 연구를 구분해 평가.관리해야 할 것"이라며 "또 연구에 대한 평가를 냉철히 해 안될 것은 초기에 포기하도록 하는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그는 "산학연 공동연구에 기업의 요구를 반영, 기업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연구프로그램에 경쟁원칙을 도입해 우수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일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밖에 국내용과 글로벌용으로 연구개발 사업을 나눠 지원하는 일과 과제 수행 기업에 백업 물질 개발과 시스템 평가를 의무화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수영기자 imlac@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