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이승호기자]"택시요금 카드결제기를 설치한지 두달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단 한번도 사용한 일이 없어요. 관리비와 수수료 부담도 커 조만간 반납할까 합니다." 얼마 전 출근길에 만난 개인택시업자 정모씨의 말이다.
서울시는 지난 3월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사용하는 교통카드로 택시요금을 낼 수 있도록 '택시요금 교통카드 결제서비스'를 시작했다.
시는 처음엔 택시 1000대로 시작, 상반기 중 5000여대로 확대하고 2009년까지 5만대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실제로 5월말 현재 택시 4646대의 신청을 받아 이중 3173대에 단말기를 장착했다.
시에 따르면 이들 택시의 지난 2개월간 카드 이용률은 4.5%. 상당한 금액이 투입된 것을 감안하면 너무나 저조한 이용률이다.
택시기사 정씨의 진단은 간단하다.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옳은 정책이지만, 홍보부족으로 이용자가 없다는 것. 특히 '현금' 장사를 해 왔던 택시업자들을 카드 결제서비스에 동참시킬 수 있는 '당근'이 없다는 것이다.
정씨는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이 참석한 카드택시 발대식 이후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용률이 저조한 서비스를 위해 8월말 이후 매달 1만원씩 관리비로 내야하는 것도 아깝다"고 말했다.
시는 이런 불평에 대해 '어쩔 수 없다'는 반응이다. 서울시에 앞서 이 제도를 시행했던 다른 지자체의 경우도 카드 이용률이 4~5% 수준에 불과하다는 논리다. 또 카드 택시가 최소 2만대 이상 운행할 때까지는 특별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카드 택시가 '시범'으로 끝날지 아니면 시민을 위한 '대중교통'의 한축으로 자리 잡을지 갈림길에 서 있다. 대한민국 수도이자 대표 지자체인 서울시가 아무 대책없이 여타 지자체의 전철을 밟는 게 옳은 것인 지 묻고 싶을 따름이다.
이승호기자 simonlee72@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