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머니투데이 김익태기자][산자부·석유·가스공사 대상, 지원체계· 제도 미비점 등]

 감사원이 최근 열풍이 불고 있는 해외자원개발업무 전반에 대해 강도 높은 감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29일 확인됐다. 해외자원개발업무에 대한 감사는 사상 처음이다.

정부부처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감사원은 지난 4월부터 산업자원부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 해외자원개발 관련 부처와 공기업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감사원은 석유공사에 대해서는 광구별 매입 타성성을, 가스공사의 경우 가스전 지분 참여 과정 등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지원체계와 함께 제도상 미비점이 없는지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해외자원개발 지원시스템 점검과 제도 개선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며 "2개월여 진행된 감사가 이달중 마무리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정부는 그동안 유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각국의 에너지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자 자원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노무현 대통령도 취임 후 17개국과 자원 정상외교를 펼칠 정도로 해외자원개발에 남다른 관심을 보여왔다.

여기에 고유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민간기업뿐 아니라 주식시장에도 해외자원개발 열풍이 몰아쳤다. 2002년 4개에 불과하던 해외 유전·가스전개발 신고업체수는 2003년 9개에서 지난해 11개로 늘었다. 올들어서도 유전개발업 등록신고를 한 곳은 8개에 달했다. 해외자원개발 사업장수도 2002년 4개에서 2003년 13개, 2006년 24개 등으로 급증했다.

주식시장에서는 해외자원개발사업이 신흥 '테마'로 부상했다. 구체적인 내용도 없이 사업목적에 '자원개발'을 추가하기만 해도 주가가 요동치는 일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코스닥 상장사들은 너도나도 자원개발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올들어 유전개발업 등록신고를 한 업체들도 대부분 본업이 자원개발과 무관한 코스닥업체들이었다.

자원개발은 본업과의 연관성이 떨어지고 불확실성이 큰데도 불구하고 '묻지마' 투자광풍이 부는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자금조달 등 투자능력이 없으면서도 해외자원개발을 주가부양 등에 악용하는 기업을 제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감사 결과 제도적 허점이 확인되면 보완방안이 마련될 것"이라며 "해외자원개발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갈 수 있는 대책을 강구중"이라고 말했다.
김익태기자 eppi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