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이승호기자]서울시가 건강하고 깨끗한 도시의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일부 버스정류장을 금연구역으로 시범 지정하고 금연아파트까지 선정한다.
서울시는 실외 공중이용시설의 금연실천을 유도하고, 시민단체가 적극 참여하는 시민운동으로 승화시켜 '금연도시'로 거듭 태어날 것이고 29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외부 공중이용시설에 대한 시민의 금연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대도시는 인구밀도가 높아 실외에서의 흡연 시 노약자 등에 대한 피해 발생이 우려돼 간접흡연 피해 방지를 위한 금연환경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시민의 금연 요구가 증가하는 장소로 버스 정류소를 첫번째로 지목했다. 버스정류소의 금연구역화에 대한 시민의견조사 결과 90%이상이 찬성한 것.
실외 공간 중 버스정류소 등은 많은 사람이 함께 대기하게 돼 임산부, 노약자, 만성질환자 등에게 간접흡연의 피해 및 담뱃불로 인한 화상 등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된다.
시는 종로2가와 백병원, 청량리, 강남역, 구로디지털, 연대 앞 등 10곳을 1차 금연버스정류소로 선정했으며, 30일 선포식을 거쳐 오는 8월31일까지 시범 운영한다. 특히 9월부터 서울시 모든 정류소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시는 또 어린이대공원, 서울대공원 등 어린이와 가족 단위로 이용하는 공원을 우선 금연공원으로 선정해 시민들의 금연실천을 유도하고, 시와 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공원에 대해 관련 규정 개정 등을 통해 금연공원을 운영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아파트 공유공간내 흡연에 대한 심각성과 금연아파트 추진의사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금연아파트를 희망할 경우 자치구 보건소에서 이동 금연클리닉 운영, 금연아파트 스티커 부착, 입주민을 위한 건강검진 등의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실내 금연만 법적으로 금지돼 있기 때문에 실외공간에서 금연을 강제할 근거는 없다"며 "다만 버스정류장이나 공원 등 공공장소는 담배를 안 피울 필요가 있는 지역이므로 시는 우선 캠페인 차원에서 금연 운동을 펼쳐나가고 정부에 금연구역 지정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승호기자 simonlee72@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