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강기택기자][영하 40℃ 혹한서도 가동하는 '바다위 전천후 복합에너지 공장']
삼성중공업이 세계 최대 규모의 복합해양플랫폼을 29일 완공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날 김징완 사장과 발주처인 SEIC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유와 가스를 동시에 시추·생산할 수 있는 세계최대 규모의 '전천후 복합 해양플랫폼' 명명식을 거행했다.
'필툰B'라고 이름 붙여진 이 플랫폼 삼성중공업이 SEIC로부터 5억 달러에 수주받아 2004년 1월 착공후 41개월간에 걸친 작업 끝에 제작이 완료됐다.
이 플랫폼은 축구장 2배 넓이에 40층 빌딩 규모(가로 100M, 세로 105M, 높이 120M)다. 중형승용차 2만5000대에 해당하는 중량을 갖고 있다. 그동안 현존하는 세계 최대 해양플랫폼은 삼성중공업이 지난해 7월 사할린 해상에 설치한 2만7000톤짜리'룬스코예A'플랫폼이었으나 '필툰B'는 이보다 6000톤 가량 더 무거운 중량 3만3000톤 규모다.
오는 6월 사할린 섬 동쪽 16Km 해상에 설치돼 하루 260만㎥의 천연 가스와 7만 배럴의 원유를 30년간 생산하게 된다.
이 플랫폼은 설비 전체를 통째로 보온해 연중무휴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사할린지역은 겨울철에 얼음이 얼기 때문에 현재 가동중인 해양플랫폼들은 여름철에만 작업을 할 수 있었다.
삼성중공업 이 플랫폼이 육상에서 조립완료한 사상 최대의 해양플랫폼으로 진도 7의 지진과 영하 40℃의 극한 상황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를 채택하고 특수자재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또 플랫폼 내부에 설치된 전선이 1200km, 파이프가 75km로서 30만톤급 초대형 유조선보다 각각 9배, 3배가 더 들어갔으며, LNG선 9척을 건조할 수 있는 780만 맨아워가 투입된 역사적인 해양설비 프로젝트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 플랫폼은 자체기술력으로 제작한 길이 195m, 폭 90m짜리 특수 해상 설치 바지선에 실려 사할린 지역으로 이동한다"며 "플랫폼 건조 과정 뿐만 아니라 운송 및 설치를 위한 장비도 세계 최대 규모로 삼성중공업의 기술력이 총집결된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특히 건조 기간 동안 발주처측 감독관이 700여명이 거제조선소에 상주해 삼성중공업 창사이래 가장 많은 발주처 관계자가 파견된 프로젝트로 기록됐다고 회사측은 덧붙였다.
강기택기자 aceka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