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송복규기자][분양가상한제 임박..공공택지 입찰경쟁률 수십대 1]
오는 9월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수도권 공공택지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수도권 공동주택지의 경쟁률이 평균 수십대 1을 넘는 것은 기본이고 그동안 외면받던 연립부지와 블록형 단독주택지도 입찰 경쟁이 치열하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면 시행사가 따로 있는 민간택지 사업은 수익성이 낮아지고 사업부지 확보도 어려워 공공택지로 건설사들이 몰리는 것이다.
민간택지의 경우 신규 수주를 전면 중단하거나 기존 사업을 포기하는 건설사도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공공택지 인기 상한가=한국토지공사가 지난달말 분양한 인천 영종지구 공동주택지 중 전용 85㎡ 초과 필지는 최고 59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 60㎡ 이하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땅의 입찰 경쟁률은 4∼7대 1, 전용 60∼85㎡는 20∼40대 1이었다.
경기 화성 향남2지구 역시 지난달 분양 당시 최고 경쟁률이 78대 1, 경기 평택 소사벌지구는 최고 42대 1에 달했다. 3월에 공급한 인천 청라지구는 전용 60∼85㎡짜리 1개 필지에 무려 186개 업체나 몰렸다.
고급형 연립주택인 타운하우스가 인기를 끌면서 찬밥신세였던 연립주택 및 블록형 단독주택지의 몸값도 급등하고 있다.
이달초 공급된 파주 교하지구의 85㎡ 초과 연립주택 부지는 2개 필지가 각각 39대 1, 16대 1의 입찰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지구 블록형 단독주택지도 3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3월에 나온 김포 장기지구 연립주택 2개 필지의 경쟁률은 각각 34대 1, 57대 1이나 됐다.
토공 관계자는 "그동안 연립주택 부지나 블록형 단독주택지는 청약 경쟁률이 저조하거나 미분양이 났는데 민간 택지난이 심각해지자 건설사들이 몰려드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D건설 관계자는 "땅작업을 도맡아 해온 시행사의 입지가 줄면서 앞으로 민간택지 확보가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며 "주요 재개발.재건축 단지 시공사 선정도 거의 끝나 공공택지에 관심갖는 건설사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민간 도급사업 전면 보류=시행사가 따로 있는 민간택지 도급사업은 사업성 검토가 중단된 상태다.
H건설 관계자는 "분양가상한제의 기본형 건축비를 도저히 맞출 수 없어 신규 수주는 일단 보류했다"며 며 "지금은 상한제를 피할 수 있는 사업지의 인허가를 앞당기는데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S건설은 최근 서울 강북의 한 사업지를 검토했으나 사업 일정상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될 것으로 보여 아예 시공권을 포기했다.
회사 관계자는 "땅값을 감정가로 산정하고 시행사 요구 수익을 빼면 시공사는 공사비도 제대로 못챙길 판이어서 사업을 포기했다"며 "상한제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수주하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송복규기자 cli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