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진상현기자]은행의 기업금융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대출에 한정하지 않는 종합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금융지주사 설립 및 활용, 기업금융플라자를 통한 원스톱 서비스 제공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병연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7일 '기업금융의 활성화를 위해 은행이 나아갈 길'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기업금융을 활성화하려면 은행이 금융지주회사를 만들어 본격적인 투자은행(IB)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상업은행과 투자은행 업무에 시너지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소매금융에서처럼 기업금융 플라자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서 일반 기업대출업무, 회사채 및 주식인수업무, 벤처캐피탈업무, 기업구조조정업무, 벌처펀드, 중소기업 지분금융(equity finance), 기업공제금융업무(business cooperatives), 사모펀드업무, 사모사채업무 등 기업금융에 관한 모든 것을 취급하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단 각 업무별로 충분한 방화벽(fire-wall)을 만들어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은 아울러 부동산 이외의 담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원재료, 재고자산 및 받을 채권 등 각종 자산을 담보로 대출하는 '자산담보부대출' 방식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자금용도 및 상환자원별 대출을 통해 정확한 기업정보와 신용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고 은행 점포를 고객, 상품, 지역에 맞춰 특화해 금융서비스를 전문화, 다양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상현기자 jisa@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