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은 13일 미국과 이란 관리들이 이라크 사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바그다드에서 수주일 이내에 만날 것이라고 확인했다.
고든 존드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라이언 크로커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와 이란 관리들이 수주일 이내에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화의) 목적은 이란이 이라크에서 생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지 타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NSC 관계자는 "이번 대화는 이라크 치안문제에 국한될 것이라면서 이란의 핵 개발 프로그램 등과 같은 이슈는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집트를 방문 중인 딕 체니 부통령을 수행하고 있는 레아 앤 맥브라이드 부통령 대변인은 "우리(미국)는 이라크 문제에 집중해서 이란과 대화를 할 의향이 있다"면서 이미 미국 관리들이 이러한 대화 의향을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1979년 테헤란 미 대사관 인질사건 이후 외교관계가 단절되고 공식적으로 양자접촉이 없었던 미국과 이란의 직접대화가 조만간 성사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란은 이란 주재 스위스 대사관을 통해 미국의 대화 제의를 받고 이를 수용했다.
모하마드 알리 호세이니 이란 외교부 대변인은 "이란은 이라크 주민들의 고통을 덜고 이라크 정부를 지원하며 이라크 치안을 개선하기 위해 이라크에서 이라크 문제에 대해 미국 측과 협의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회담 날짜와 시간, 협상팀 대표 등은 이번 주에 발표될 것"이라고 붙였다.
지금까지 부시 행정부는 이란을 '악의 축'으로 규정, 이란이 핵 개발 프로그램을 포기할 때까지는 직접 대화를 갖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또 미국은 이란이 이라크 저항세력에 미군과 맞서 싸울 무기와 훈련 등을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워싱턴=연합뉴스) bingsoo@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