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최근 국내에 수입되는 외제 승용차가 급속히 늘어남에 따라 내년부터 외제차도 자동차 안전도 평가를 받게 된다.

22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성능연구소에서 담당하는 자동차 안전도 평가에 내년부터 국산차를 포함해 외제차까지 안전도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자동차 안전도 평가 예산을 올해 7억원에서 내년에 15억원까지 추가로 확보해 고급 외제 승용차의 안전도까지 점검할 계획이다.

교통안전공단은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47개 차종의 국산차에 대해 안전도를 평가한 뒤 발표해왔으나 벤츠 등 고급 외제차의 경우 1대당 가격이 억대를 호가해 예산 부족으로 검사할 여력이 없었다.

하지만 지난해 국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1천589만5천234대 가운데 외제차가 22만5천대로 전체의 1.42%를 점유하는 등 급증세를 보여 국산차 뿐만 아니라 외제차의 안전도도 검증해야 한다는 민원이 제기돼왔다.

건교부측은 "수입차의 비중이 갈 수록 커지고 있고 특정 모델의 경우 연간 5천대 이상을 팔리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외제차라면 막연히 안전할 것으로 생각하는 소비자를 위해 내년에는 반드시 예산을 확보해 외제차를 검증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건교부에서 시행 중인 자동차 제작결함 조사사업은 예산 부족으로 외제차 평가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제작결함 조사사업은 자동차의 안전 결함 여부를 교통안전공단이 직접 점검해보는 것으로, 하자가 적발될 경우 리콜 등을 제작사에 권고하게 된다.

최근 들어 외제차의 제작결함 문제가 도마에 오른 것은 지난 20일 혼다 어코드 승용차 4천261대에서 제작결함이 발생해 국내에 수입차가 들어온 이래 최대 규모의 리콜이 실시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예산 40억원을 들여 15개 국산 차종을 대상으로 제작 결함을 조사했지만 예산 부족을 이유로 외제차는 손도 못대고 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우리 또한 외제차도 검증하고 싶지만 1개 차종만 검사하려고 해도 8대를 부셔야 하는 데 대당 1억원에 달하는 외제차를 쉽게 구입할 수 없다"면서 "하지만 국민의 안전을 위해 추가 예산을 확보해 외제차도 시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president21@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