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김형주 "친노그룹도 노 대통령과 결별 가능"

"탈당 문제 토론할 수 있어…대통령보다 당 내부 문제가 더 심각"

열린우리당 내의 이른바 '친노그룹'에서 정계개편의 한 방식으로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 문제를 노 대통령과 토론할 수 있으며, 친노그룹이 노 대통령과 결별할 수도 있다"는 주장을 제기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는 열린우리당의 대표적인 친노그룹인 '참여정치실천연대(참정연)'의 대표를 맡고 있는 김형주 의원의 주장이다. 김 의원은 27일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와 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노 대통령이 과거의 방식처럼 보수정치라든지 총재로 군림해오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탈당) 문제는 여러 가지 열어놓고 얘기할 수 있는 부분이 저는 분명히 있다고 본다"면서도 "내년 대선에서 대통령의 탈당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 대표의 이러한 발언은 최근 재보선 참패를 계기로 △재창당 △헤쳐모여 식 통합신당 △조기전당대회 개최 등 향후 정계개편에 대한 백가쟁명 식 논의가 열린우리당 내에서 터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친노그룹의 입장을 밝힌 것이어서 주목을 끌었다.

김 대표는 "당에서 어떤 때는 대통령에게 탈당하라고 했다가 다시 탈당하지 말라고 하는 등 오락가락한 측면이 있다"며 "대통령보다 당 내부 문제가 더 심각하다"고 털어놨다.

김 대표는 그러나 "노 대통령이 어떤 문제든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친노그룹도 무조건 대통령과 함께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의 창당 기치를 지킬 체제가 있다면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형주 "1월 전대"vs 민병두 "12월 전대" 주장

같은 날 열린우리당의 대표적인 전략통인 민병두 의원 역시 불교방송 <고운기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대통령이 정계개편이나 정권 재창출의 주역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민 의원은 또 "침묵하고 돕는 수준으로 노 대통령의 역할을 축소시키는 것이 낫다"며 "(대통령이) 정계개편의 과정에 개입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날 방송에서 김 의원과 민 의원의 입장은 '정계개편에서의 노 대통령의 역할' 부분에서는 일치했지만, 세부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시각차를 보였다.

즉, 두 의원 모두 '정계개편에서 대통령은 빠지거나 의미가 축소돼야 한다'는 데 는 공감했으나, 최근 당 내 초선의원 모임인 '처음처럼'이 제기한 전당대회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보였다.

'처음처럼' 소속인 김 의원은 "인위적인 정계개편으로는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고 전제하고, "'처음처럼'의 주장은 2월 말로 예정돼 있는 전당대회를 1월 말 경으로 앞당기자는 뜻"이라며 "2월은 설 연휴도 있고 해서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하는 것보다는 1월 말에 앞당겨서 하자는 것이며 '조기'라는 말에 큰 의미는 없다"고 밝혔다.

반면 민 의원은 "연이은 선거패배로 당 비상대책위가 당을 운영할 동력을 잃었다"고 지적하고, "그러나 비대위의 책임을 물으며 퇴진하라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민 의원은 이어 "한나라당이 3월부터 대선후보 경선을 할텐데 우리가 2월 말에 전당대회를 한다면 국민들로부터 '곧 없어질지도 모르는 당의 전당대회'라는 평가를 들을 것"이라며 "12월에 전당대회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