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을 향해 "말과 정책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김성호 전 의원이 "개인을 무조건 추종하는 우상의 정치를 하고 있는 '노무현을사랑하는사람들의모임(노사모)'와 당내 친노그룹은 즉각 해체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12일 <평화방송(PBC) 장성민의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해 "(노사모와 친노그룹은) 당 내 언론의 자유와 건전한 소통을 억압함으로써 당내 민주주의를 파괴했기 때문"이라며 이와 같이 주장했다.
이날 김 전 의원은 특히 노사모에 대해 "노 대통령의 당선으로 역사적 사명을 다했기 때문에 사실 당선직후 바로 해체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부 세력이 남아서 끊임없이 정치세력화를 도모함으로써 노 대통령에게 부담을 줬고 민주정치를 철저히 파괴했다"고 격렬히 비난했다.
그는 노 대통령에 대해서도 "대통령 후보 때 공약했던 내용 중에서 지킨 게 하나도 없으며, 철저하게 지지자와 국민들에게 약속했던 것들을 배신해 왔기 때문에 이제는 지지의 대상도 민주개혁세력도 아니다"며 "이는 우상의 정치"라고 맹비난했다.
김 전 의원은 이어 "민주주의는 이런 우상에 대한 이성의 싸움"이라고 규정하고, "현재는 특정 정치인을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우상의 정치가 아니라 합리적으로 지지하는 이성의 정치가 필요한 시대"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이 노 대통령에 대해 '우상'이라고 규정한 것에 대해서 "말과 실제 행동이 180도 거꾸로"라는 이유를 들었다.
김 전 의원은 "노사모와 당내 친노그룹도 똑같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이유에 대해 "현재 노사모는 순수했던 초기의 노사모와는 달리 건전한 민주적 지지세력이 아니며, 친노그룹들은 정치인 노무현 자체를 맹목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시대착오적인 패거리 정치를 부활시켰다"고 밝혔다.
그는 또 "노무현 대통령의 당선과 열린우리당의 창당 자체는 시대적인 요청이었기 때문에 옳았다고 보고 있다"면서도 "이후에 지지자들과 국민들과 약속했던 정책노선을 지키지 않고 정책노선을 이탈함으로써 잘못된 것이며, 남북한 관계를 파탄시켰기 때문에 저는 지적을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이어 "제가 열린우리당에 참여하고 또 노 대통령 당선에 적극적으로 역할을 한 부분에 대해서 제게 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하면 흔쾌히 수용을 하겠으며 국민의 심판을 받겠다"고 밝혔다.
이날 방송에서 김 전 의원은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의 '야당이 정권을 잡는다고 나라가 망하지 않는다. 진보세력이 집권 10년을 했으면 많이 한 것이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국정운영에서 잘못했으면 심판을 받아야 할 대상이기 때문에 (유 장관은) 말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고 깎아내렸다.
그는 이어 "민주주의 원칙은 여당은 국정운영을 5년 동안하고 국민의 심판을 받는 것"이라며, "국정운영을 잘못하고 망쳤으면 야당으로 돌아가는 거는 너무나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 의원의 열린우리당에 대한 비판은 여당이 도입하기로 한 '완전개방형 국민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로 이어졌다. 그는 "이는 열린우리당 자체가 왜 창당을 했는지 그리고 정당이 무엇을 해야 되는가에 대한 기본적인 것을 모르고 있다는 걸 단적으로 증명하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즉, 열린우리당은 당원이 주인이 되는 정당을 목표로 창당한 정당인데, 오픈 프라이머리는 창당 정체성 자체를 부인하는 것이라는 게 김 전 의원의 주장이다. 그는 "(오픈 프라이머리는) 나라를 망치고 권력을 잃게 되었기 때문에 권력을 연장하기 위한 정치적인 술책이나 정치적인 꼼수일 뿐이지 민주주의나 정당민주주의의 발전과 아무관련이 없는 사안"이라고 일축했다.
김 전 의원은 또 북핵 사태와 관련해 "노 대통령이 책임져야할 문제"라며 전날의 주장을 되풀이해 말했다. 그는 "(북핵사태가) 대통령이 하야할 정도의 문제는 아니지만 YS의 냉온탕 정책을 계승하고 민족 운명의 주도권을 미국과 일본에 넘긴 데 대해, 국정최고책임자로서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