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일본에 멸종된 독도 바다사자 강치, 뮤지컬로 부활

[뮤지컬] 독도, 그리고 이야기

우리 역사와 함께 한 우리의 땅 독도.
그곳에는 지금은 볼 수 없는 그 섬의 주인이 살고 있었다.
가제, 가지, 강치. 모두 독도에 살던 독도 바다사자 강치를 일컫는 이름이다.





19세기만해도 동해에는 약 3만~5만 마리의 강치가 살았으며 독도는 강치의 주요 서식지로 강치의 섬, 가제도라고도 불렸으며 지금도 가제바위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강치 수컷은 길이 2.5미터, 몸무게가 500kg까지 자라며 1마리의 새끼를 낳는 것으로 알려진 강치는 동해의 푸른 바다에서 헤엄치며 독도의 가제바위에서 새끼를 낳고 키웠다.

이렇게 많던 강치들을 왜 지금은 독도에서 볼 수 없을까?

강치의 비극은 우리의 역사와 굴레를 함께 했다.

동해의 풍부한 자원을 간직한 울릉도와 독도는 끊임없는 일본의 침탈을 받아왔으며 1900년 대한제국은 고종칙령 41호를 반포하여 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을 확고히 했다.

그러나, 1904년 러일전쟁 이후 독도의 전략적 가치를 안 일본은 1905년 독도를 일방적으로 일본영토로 편입시켰으며 한 일본어부에게 독도어업 독점권을 주게 된다.

당시 강치가죽은 소가죽보다 가격이 비쌀 정도로 인기였으며 이 후 매년 수천마리의 강치가 남획되어 살과 기름은 비료와 연료로 사용되었고 가죽은 고급가방과 군용배낭의 재료로 사용했다.

1904년 이후 8년간 독도에서 잡힌 강치는 공식기록으로만 14,000 여마리이며 새끼를 비롯하여 실제로 잡히고 죽은 강치는 몇 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남획으로 인해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1975년 마지막 목격된 이후 현재 멸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렇듯 우리민족의 고통의 역사와 길을 함께 한 강치가 뮤지컬로 부활하여 우리 곁으로 되돌아 온다.

공연제작사 퍼즐 엔터테인먼트(대표 허강녕)가 만든 창작 뮤지컬 '독도,그리고 이야기'(음악감독 허수현, 연출 추정화)는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독도의 또 다른 이야기로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역사적 교훈은 물론 환경보호에 대한 메세지까지 전해주는 뮤지컬이다.

일본의 우경화와 역사왜곡, 망언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 뮤지컬은 본 공연에 앞서 오는 11월 11일 오후 2시 여의도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 제작발표회와 갈라쇼로 의미있는 시작을 알린다.

뮤지컬 '독도,그리고 이야기'의 제작발표회와 갈라쇼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주최한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과 민주당 김기준 의원은 '독도와 역사문제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일본의 우경화와 역사인식문제에 대해 일일이 반응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를 돌아보며 알리고 알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뮤지컬에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또한 '이 땅에 사는 동,식물 역시 우리 역사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며 '이번 공연을 국회의사당에서 시작하는 데에 시사하는 바가 크며 우리가 앞으로 노력해야 할 많은 것을 담고 있다'고 했다.

공연 제작사 퍼즐엔터테인먼트는 '이 뮤지컬은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독도의 또 다른 이야기이다.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위해 뮤지컬이라는 문화의 힘을 빌렸으며 학생들은 물론 그들을 이끌어야 할 어른들도 함께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