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활빈단(대표 홍정식)은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수사단에 "국민 생명을 담보로 원전 부품 납품시 '수수료'를 챙기는등 돈욕심 챙기는 원전내 광범위하고 깊은 뇌물상납 먹이사슬 고리를 끊으라"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한수원 김종신(67) 前사장을 비롯해 한수원 전ㆍ현직 임직원 6명이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구속 또는 불구속 기소된 가운데 송모(48) 한국수력원자력 부장이 현대중공업에서 편의 대가로 받기로 한 17억원중 10억원을 이미 받아 챙긴 것으로 드러난 혐의에 따른 것.
활빈단은 "1천127억원 상당의 비상용 디젤 발전기와 대체교류 발전기 등의 납품과 관련한 편의제공 대가로 17억원을 받는다면 납품가의 1.5%가 편의제공 뇌물관행이다"고 비난했다.
또한 활빈단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부품 납품과 관련해 한수원 간부들에 뇌물을 주다 구속 영장 청구 또는 불구속 된 현대중공업 전ㆍ현직 임직원외에도 "국가위상 추락등 수출 원전의 신용 저하로 대외신뢰도를 실추시킨 검은 로비를 벌였다니 관련자를 더 색출하라"고 요구했다.
이와함께 활빈단은 채동욱 검찰총장에 원전비리수사단이 협력ㆍ검증업체의 비리정도가 아닌 핵심부품마저 불량납품, 성능검사서 위조 행위등 꼬리를 무는 구조적 비리를 더 파헤치지 못할 경우 원전전문 수사역량이 있는 수사팀으로 교체를 요구했다.
아울러 활빈단은 검찰에 원전 비리가 이명박정부의 권력형 비리로 비화하고 한수원을 넘어 한전으로까지 확대되더라도 "정ㆍ관계를 상대로 한 전방위 로비등 원전을 둘러싼 비리 의혹 전반에 대해 쾌도난마식의 일벌백계 수사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더불어 활빈단은 안전을 강조한 박근혜 대통령에 내달 2일 휴가를 마친후 청와대 귀임즉시 원자력발전소 23기 가운데 17기가 분포되어 국내 원전의 4분의3이 배치된 영남권 주민들 불안감 해소를 위해 "원전 사고시 신속한 대응등 현장 밀착형으로 책임질 원전 안전 기관의 영남지역 이동 배치를 국민제안할 예정이다." 고 밝혔다.
한편 활빈단은 8월중 원전비리국민감시단을 결성해 한수원 부패비리 척결에 나서 고리원전外 전국 원전과 해운대,광안리 해수욕장에서도 원전안전 한수원 正道운동을 펼칠 계획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