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대선평가를 위한 공론의 장을 마련했지만 전당대회를 앞두고 펼쳐진 계파 간 갈등이 권력다툼으로 비춰지고 있어 유감이다.
민주당은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3일 일정으로 대선패배에 대한 지역 민심을 수렴 중이며, 21일 광주전남 대선평가의 장을 마련했다.
하지만, 지역의 민심은 이번 대선 평가가 때 늦은 뒷북으로 평가절하 하고 있다. 이미 정치권과 학계, 언론계의 다양한 평가가 이뤄진 마당에 지역순회 평가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대선이 끝난 지가 언제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려는 시점에 대선을 평가한다는 자체가 대선평가를 빙자해 세몰이를 하려한다는 곱지 않은 시선도 동반되고 있다.
또, 당의 중심을 지켜야할 사람들이 호남인의 마음을 난도질 하는 등 온갖 말썽조차 단속 도 못하고 있는 처지에, 대선평가 아닌 또 다른 반성이 필요하고 석고대죄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빈축이다.
민주당 내 일각에서 이번 단일화 실패에 대한 원인을 , 안철수 전 후보의 미숙한 사퇴, 안철수 전 후보의 뒤늦은 선거 지원, 이정희 전 후보의 역풍 등으로 분석 하며 국민들이 이에 지지해 줄 것을 구걸하고 있는 느낌이다. 하지만 민주당을 지지했던 유권자들은 이를 책임정치가 결여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민주당은 대선패배 원인으로 ‘신뢰를 받지 못했다’는 것과 ‘교만했다’는 것으로 요약했다.
정확한 평가지만 해석이 틀렸다.
민주당은 경제민주화와 보편적 복지라는 공약을 새누리당이 선점했고, 국민들은 신뢰에서 민주당 보다는 박근혜 후보를 더 믿었다는 것인데, 반복되는 혁신의 다짐에 대해 식상해 진 것이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
민주당이 그동안 책임정치를 펴지 못했다. 회초리투어 등을 펼치며 뼈를 깎는 혁신을 다짐했지만, 선거패배 후 선언했던 혁신의 다짐들을 재현한 것 뿐 이다.
일각에서는 대선패배의 첫 번째 이유를 문재인 후보로 꼬집고 있다. 경선과정과 단일화 과정에서 나타난 불협화음을 통제하지 못하고 근거 없는 자신감만으로 선거를 치러냈다. 또, 선거를 진두지휘한 선대본부의 문제다.
단일화 과정에서 안철수 후보를 꺽기 위한 전략에 매몰됐고, 민생.일자리.복지에 대해 국민들에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설득하는 기회를 스스로 제약했다.
이념문제 에서도 민주당의 정체성을 국민들에게 설명할 기회를 스스로 포기했다. 이정희 후보에 의한 역풍을 말 하지만, 토론회 과정에서 이 후보의 주장에 찬반입장을 표현하지 못하고 보수 측의 눈치 보기로 일관했던 것이 사실이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회초리 투어에서 ‘계파를 없애고, 기득권을 내려 놓으라’는 말을 가장 많이 들었다고 밝혔다. 이것이 혁신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차기 전당대회를 두고 주류ㆍ비주류가 권력다툼으로 정면충돌 해 국민들의 질책을 자처하고 있다.
변한 것이 없다는 말이다. 국민 시선은 따갑기 그지없는데 패배를 제대로 수습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다. 다시 계파 간 당권 다툼으로 돌아와 있다. 어떻게 다시 국민의 마음을 얻겠다는 것인지 의문이다.
최근 호남지역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향후 호남인들의 정치적 염원을 실현하는 것이 민주당으로 가능하냐는 질문에 29.0%가 "민주당으로 가능하다"고 응답했으며, 57.9%는 "민주당을 대체할 다른 정당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민주당이 가장 잘 못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공천비리, 당내 분열 등 구태정치 반복"이라는 응답이 46.1%로 가장 높았다.
민주당에 대한 호남인들의 평가는 아직 냉소적이라는 분석이다.
민주당 내에서 나 아니면 안 된다는 독선과 교만이 자리잡고 있다. 특정인을 건론하고 싶진 않지만 책임정치 측면에서도 책임질 사람은 당 대표 선거에 나서지 않아야 당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DJ이후 당의 운영 자체가 방만해져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지도력이 상실되고 있다. 선거뿐 아니라 정치집단으로 면모가 퇴색돼 버렸다.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인적쇄신이 중요하다. 호남사람이 민주당 간판을 달고 호남에서 득세하는 모습 없어져야 한다. 최근, 광주전남출신 의원들이 모여 당대표 단일화를 이야기 했다는 자체가 부끄러운 모습이다.
민주당이 책임정치 실현과 당 혁신을 주장하려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장까지 정당공천이 없애자고 먼저 주장해야 한다.
지방선거 공천이 비리의 온상이라는 말이 있다. 지방선거에 공천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은 구태정치를 하겠다는 말이다. 만약 위장전입, 병역, 투기 등에서 떳떳하지 못한 사람은 떠나 줘야 한다. 이것이 이적 쇄신이다.
책임져야 할 사람들이 혁신을 주도 하려해서는 안 되고, 혁신을 하려면 지방선거에서 공천이라는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국민들은 민주당에게 신뢰를 보내줄 것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