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한국수자원학회가 개최한 심포지엄에서도 찬.반 의견이 다양하게 나왔다.
대학교수를 포함해 수자원 전문가들로 구성된 수자원학회는 30일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한반도 대운하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대운하 건설에 따른 영향 등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한반도 대운하 건설에 따른 수자원 현안(여운광 명지대 교수) ▲주운용수의 확보 필요성과 공급방안(이재응 아주대 교수) ▲운하건설에 따른 홍수영향분석(전경수 성균관대 교수) ▲운하건설과 관련된 수리학적 검토(한건연 경북대 교수) ▲대운하건설에 따른 상수도 영향 검토(최승일 고려대 교수) ▲운하건설에 따른 생태환경 변화 및 영향(최흥식 상지대 교수) 등 6개 소주제에 대한 발표가 있은 뒤 토론이 이어졌다.
홍수영향을 주제발표한 전경수 교수는 "운하 건설 후의 홍수위는 건설 전에 비해 전반적으로 하강하며 특히 보 직하류부는 하상 준설에 따른 홍수위 감소효과가 현저하다"면서 "적절한 주운보의 설계와 운영으로 전 구간에 대해 홍수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최흥식 교수는 "보가 설치되면 유수역이 정체수역으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하천기능 개선을 위한 복원과 회복사업을 철저히 하는 것을 전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최승일 교수는 "대운하 건설로 인해 상수도 공급이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서 취수원 이전 가능성, 하상여과 등 간접취수 가능성, 강변여과의 정수방법 등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여운광 명지대 교수는 "하천은 치수, 이수, 환경 및 생태 기능이 원활이 작동하고 이들을 충분히 제어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해야 주운활동이 의미를 갖는다"면서 "3대 고유 기능이 훼손된다면 이것은 거꾸로 가는 길"이라고 지적했다.
sungje@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