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대표는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당 대표로서 총선 때 당 공천자를 위해 지원유세를 했는데 선거가 끝난 후 곧바로 태도를 돌변해 복당을 허용하는 것은 정치도의상 어렵기 때문에 차기 당 지도부에 맡기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라며 "복당 문제를 일도양단으로 끊듯이 결론을 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복당 반대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친박측 김학원 최고위원은 "공천이 잘못됐다는 것은 대다수 사람이 인정하는 것인데다, 국민들의 뜻이 받아들여지는 것이 좋겠다고 유력한 대선후보였던 전직 대표가 두세차례 얘기한 것을 당이 논의조차 않고 묵살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당 대표로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성의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형근, 한 영 최고위원은 탈당 친박 당선자들의 일괄 복당이 아닌 선별 복당을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 복당 문제를 최고위원회 공식 안건으로 채택해 의결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의견 개진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복당 문제에 비교적 유연한 입장인 정몽준 최고위원은 "시간을 두고 보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개진했고, 안상수 원내대표, 한 영 최고위원 등 다수 참석자들이 공감을 표시한 데 이어 강 대표가 "이 문제는 오늘 결론낼 사안이 아니고 앞으로 시간을 두고 보자"며 유보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윤선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최고위원만 참석한 비공개 회의에서 복당 문제에 대한 논의결과 '이 문제는 시간을 두고 보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sgh@yna.co.kr
leslie@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