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최고위원들만 참석한 비공개 회의에서도 친박 인사들의 복당 문제가 재론됐지만 공식 안건으로 상정해 의결 절차를 밟지 않고 "시간을 갖고 두고 보자"는 쪽으로 의견이 수렴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최고위원은 비공개 회의에서도 "한나라당의 화합과 국민 지지를 회복하는 차원에서 복당 문제를 논의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선별 복당'을 거듭 주장했고, 한영 최고위원도 동조 입장을 개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김 최고위원은 "선별 복당은 하나씩 하나씩 심사해 들여보낸다는 것인데 이는 자존심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선별 복당 얘기는 오히려 그쪽을 더 자극할 수 있다"면서 반대했다는 것.
그는 또 박 전 대표의 복당 논의 요구에 강재섭 대표가 `묵묵부답'의 행보를 취한 데 대해 "직전 대표였고 유력 대선후보가 두세번씩 했는데 이를 묵살하고 논의조차 안하는 것은 당 대표로서 성의있는 태도가 아니다"고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강 대표는 "나의 소임은 18대 국회 원구성까지 잘 마무리하는 것"이라며 "이제까지 말했듯 국민이 만들어준 판세를 재조정하는 것은 국민의 뜻에 어긋나는 게 아니냐"며 `복당 불허'라는 기존 입장을 완곡히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강 대표는 또 "총선 당시 당 공천자를 위해 지원유세를 하면서 `복당 불허' 입장을 밝혔다가 선거가 끝난 뒤 태도를 돌변하는 것이 어려워 차기 지도부에 맡기는 것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최고위원은 "강 대표는 이 얘기를 하면서 `계속 노력해 한번 논의해보자'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고 전했다.
복당에 비교적 유연한 입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정몽준 최고위원도 "기본적으로 공천이 잘못된 것이기는 하지만 친박연대 등이 나와서 우리 당 공천자들도 아슬아슬하게 떨어진 곳이 많다"며 "이런 상황에서 복당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고, 현재로는 곤란하지 않느냐"는 취지로 얘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복당 논란은 정몽준 최고위원이 "복당 문제는 오늘 결론을 내릴 것이 아니라 시간을 두고 해결해야 한다. 그것이 어떻겠느냐"는 의견을 내놓았고, 안상수 원내대표 등 참석자들이 동의의 뜻을 밝히면서 일단락됐다는 것.
당초 이날 최고위에서는 친박 인사들의 복당 문제가 정식 안건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당헌.당규상 최고위 안건은 강재섭 대표최고위원이 상정할 권한을 갖고 있으며 회의 하루 전까지 최고위원들에게 통보토록 돼있다.
회의에는 출장차 중국을 방문중인 전재희 최고위원을 제외하고 강 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들과 안 원내대표, 이한구 정책위의장 등 전원이 참석했다.
jongwoo@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