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올해부터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의 산정 기준을 강화한 바젤Ⅱ(신BIS)가 도입되면서 은행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바젤Ⅱ는 모든 은행에 똑같이 적용되지만 감독당국으로부터 자체 신용평가 모형을 활용하는 내부등급법을 승인받았는지 여부에 따라 당장 1.4분기 실적 발표부터 BIS비율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까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내부등급법을 승인받은 은행은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등 두 곳이다.

외환.산업.기업.하나은행은 승인을 신청했으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나타나 보완 작업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 금감원이 제시한 방식을 이용하는 표준모형을 써야 한다.

문제는 표준모형을 적용할 경우 바젤Ⅱ의 시행으로 은행들의 BIS비율이 약 1~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내부등급법을 적용한다고 무조건 BIS가 오르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시중은행들의 대출이 대체로 우량자산인 점을 감안하면 상승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작년말 내부등급법을 승인받은 국민은행은 이번 1분기부터, 최근 승인받은 신한은행은 2분기부터 BIS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신한은행은 표준모형을 사용할 때보다 BIS비율이 2.2%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자체 추정하고 있다.

반면 내부등급법을 승인받지 못한 은행들은 당장 BIS 비율 관리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이미 1분기 실적을 발표한 기업은행은 3월말 현재 10.45%로 작년말에 비해 0.66%포인트, 하나은행은 10.24%로 1.51%포인트 각각 BIS 비율이 낮아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율이 낮아졌다고 해도 당장 자본적정성에 문제가 생기는 수준은 아니고 나머지 은행들도 올해 보완작업을 거쳐 승인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대외적인 평판이 있기 때문에 은행들이 민감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jun@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