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 통합민주당이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7.6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원 명부 정리 작업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월 합당 전 대통합민주신당측 당원 120만명과 구 민주당측 당원 40만명을 합치면 통합민주당의 명부상 당원은 160만명에 달하지만 실제 당원인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려면 적잖은 물리적, 시간적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당초 29일까지 중앙당 차원에서 1차 스크린 작업을 거친 뒤 각 지역 시도당에서 다음달 5일까지 당원 명부 정리작업을 마친다는 계획이었지만 일정이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은 일단 160만명 중 당비를 납부해온 8만명을 상대로 전수조사를 실시해 당원 여부를 직접 확인하고 나머지 당원들은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ARS(전화 자동응답 시스템)를 통해 확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ARS 조사가 실시된다는 문자 메시지를 먼저 보낸 후 실지 조사를 실시해 당원 의사를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160만명 중 60만명 가량은 휴대전화 번호가 기재돼 있지 않아 이 같은 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 민주당은 이 경우 집 전화나 주소를 통해 최대한 연락을 취한다는 방침이지만 연락이 닿지 않을 경우 당원 자격을 박탈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실제 전수조사를 실시할 경우 160만명의 당원 중 최소한 수십만명은 당원 자격을 박탈당하는 허수당원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우선 ARS 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상당수 당원들이 탈락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4.9 총선 때 경기도 한 지역구에 출마했던 후보는 "선거 때 당원 명부를 받아서 일일이 전화를 돌려봤는 데 실제로 당원으로 가입했다는 이들은 절반에도 못미쳤다"며 "당원의 전면적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열린우리당 시절 당비를 정기적으로 내는 기간당원에게 공직후보자 선출 투표권을 부여하는 제도를 운영했는 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인 `허수당원'이나 `유령당원'이 이후 정계개편 과정에서 상당수 본인의사 확인절차 없이 승계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과 무관치 않다.

실제로 열린우리당은 2006년 지방선거 당시 출마 예정자들이 대거 당원 모집에 나서면서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당원으로 등록되는 `유령당원', `종이당원'의 폐해를 빚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민주당 전신인 대통합민주신당이 작년 대선후보 경선을 실시하면서 각 후보들이 선거인단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당원 늘리기에 나서는 과정에서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당원으로 등록된 사례도 적지 않다는 시각이다.

이에 따라 이들 허수당원에다 대통합민주신당과 구 민주당의 이중 등록자, 중앙당과 시도당의 이중 등록자까지 포함할 경우 실제 당원 숫자는 160만명의 절반을 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jbryoo@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