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 통합민주당이 29일 새 정부의 교육정책을 점검하기 위해 국회에서 개최한 간담회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학교 자율화를 졸속 추진하는 바람에 엄청난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속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당에서 김효석 원내대표, 최인기 정책위의장, 유기홍 국회 교육위 간사 등이 나왔고, 김혜영 중앙대 교수, 윤지희 교육과시민사회 대표, 이인규 아름다운학교운동본부 사무총장, 강수암 한자문화원장 등 학계와 시민사회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김 원내대표는 모두 발언에서 "교육의 목표는 학벌없는 사회를 만들고 공교육 강화를 통해 교육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하는 것"이라며 "새 정부의 4.15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은 학부모가 설 자리를 없애고 우월반, 사교육비 증가 등 부작용을 낳을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최 정책위의장은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이 소수 엘리트만을 길러 교육격차를 키워가는데 중점이 있다는 것은 국민이 알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사교육시장 의존도를 높여 공교육을 무력화하고 학생간, 학교간, 지역간 격차를 엄청나게 키워나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발제자로 나온 김 교수는 "교육에 자본주의 경쟁 논리나 교육의 상업화를 끌어들이면 안됨에도 4.15 학교자율화 계획은 이러한 교육 본질에 대한 철학이 부족하다"며 "한번도 검증된 것이 없는 지식의 전수방법인 사교육에 정부마저 흔들리면 큰 문제"이라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내부 정화장치 없이 교육규제를 철폐하는 것은 대단한 문제가 있고, 정부는 교육기회의 형평성에 대해서도 잘못된 접근을 하고 있다"며 "새 정부는 가시적 성과를 내는데만 급급해 발표한 정책을 철회하는 악순환을 반복하는 등 일관성도 결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문가의 참여를 위한 민간 논의기구 결성, 제대로 된 정책의 수립을 위한 전문가 연구단체 지원, 양질의 교육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육 인프라 개선 등 세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jbryoo@yna.co.kr

(끝)



">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