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금융공기업 기관장에 대한 재신임 결과 발표가 임박하면서 금융가에 애꿎은 '노무현 괴담'이 돌고 있다.
특정 기관장과 전 정부의 인연이 '믿거나 말거나'식으로 유포되면서 다급해진 해당기관장들이 루머를 해명하기 위해 진땀을 흘리고 있다는 것이다.
28일 금융당국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공기업 기관장 재신임 결과 발표가 임박하면서 재신임 대상 금융기관장에 대한 흑색 선전이 난무하고 있다.
금융계 고위관계자는 "인사가 지연되면서 특정 기관장을 불신임으로 몰아가기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루머들이 떠돌고 있다"며 "`전 정부와 인연이 깊다'는 식의 소문이 특히 많다"고 말했다.
다른 금융계 고위관계자는 "A기관장의 경우 전 정부에서 초고속 승진을 했다는 점이 부각되며 전 정권 실세와 관계설이 제기되자 적극 해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금융가는 '선임 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핵심측근의 지원사격을 받았다'거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각별한 신임을 받았다'는 식의 루머가 확인은 어려운 데 비해 재신임에 미치는 영향은 결정적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현재 금융위원회가 제시한 기관장의 재임기간, 경영실적 등은 비교적 객관적인 데이터로 검증 가능하지만 선임과정에서 전 정부 핵심인사가 개입했는지 등 여부는 확인이 어렵다는 점에서 이런 출처 불명의 소문이 양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공기업 관계자는 "특정 기관장 자리를 노리고 있거나 해당 기관장과 평소에 관계가 좋지 않은 인사들이 고의로 소문을 만들어 퍼뜨리는 경우도 있는 것 같아 염려스럽다"고 말했다.
한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현 정부와 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가 재신임 주요 변수 중 하나로 부각되면서 능력보다 인민재판 식 마녀사냥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는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금융위 고위관계자는 "전 정부와의 연관성 등을 거론하는 음해성 루머가 많이 돌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가급적 이번주 중에 일부라도 재신임 결과를 발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speed@yna.co.kr
(끝)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